OECD 국가 월평균 가계 통신비 지출 순위


한국의 가계 통신비 부담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미국, 일본에 이어 3위를 기록, 최상위권인 것으로 밝혀졌다. 통신비 중에서도 이동통신비(무선통신비) 지출은 OECD 최고 수준이다.
 
이는 그동안 국내 통신업계가 한국의 통신비가 낮다고 주장해 온 것과는 정반대 결과여서, 향후 통신요금 인하 압박 등 파장이 예상된다.
 
14일 OECD가 2년마다 발표하는 통신 관련 보고서인 '2013 커뮤니케이션 아웃룩'에 따르면 2011년 기준 한국의 월평균 가계 통신비 지출액은 148.39달러로 일본(160.52달러), 미국(153.13달러)에 이은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멕시코(143.17), 5위는 아일랜드(142.11), 6위는 룩셈부르크(142.10), 7위는 오스트리아(136.3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OECD 국가 중 가장 통신비가 낮은 국가는 중국(30)이었으며, 슬로바키아, 체코, 독일, 포르투갈 등도 약 80달러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국가간의 물가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구매력평가지수(PPP)를 적용한 것이며, 유선전화·무선전화·초고속인터넷· 단말기 가격 등을 모두 포함했다.
 
한국의 통신비가 타 국가보다 높은 이유는 높은 무선 통신비 탓이다. 한국 가계통신비를 항목별로 보면 무선통신비가 115.5달러, 유선 통신비가 43.6달러, 인터넷비가 21.2달러로 무선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국의 무선통신비는 OECD 국가 중 1위다. 일본의 무선통신비는 100.1달러, 멕시코는 77.4달러로 각각 2위, 3위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의 단말기 보급률이 2010년 기준 OECD 3위로 높은데다가, 피쳐폰보다 고가이며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단말기인 스마트폰을 많이 갖고 있는 것, 휴대폰 교체시기가 빠른 것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통신비에는 단말기 할부금이 포함된다.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 비율이 매우 높다"며  "시스코(CISCO)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 고객들은 월 평균 1.2기가바이트(GB)의 데이터를 쓴다"고 설명했다.
 
2년전 OECD 조사에서도 한국은 통신비 최상위 국가로 분류됐다. OECD 회원국 간의 상대적인 통신비 지출을 비교한 수치인 '가계 통신비 지수' 기준으로 멕시코(1.671)에 이어 2위인 1.607을 기록했다. 당시 OECD 평균은 1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