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양적완화를 축소할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지만 양적완화 축소는 경기가 실제로 개선되었다는 의미이므로 신흥국에 대한 자본 유입이 위축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4일 발표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언급과 신흥국의 자본 유출입 변화 가능성' 보고서에서 "2000년대 중반의 글로벌 유동성 과잉 현상에 비추어 보면 양적완화의 축소가 자본의 신흥국 유입을 위축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지난달 19일 벤 버냉키 미국 연준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신흥국의 주식, 채권, 통화 가치가 며칠 동안 급락했다. 신흥국의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자금이 유입됐는데, 양적완화를 축소하면 들어온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994년 이후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멕시코 외환위기, 아시아 외환위기를 초래한 것과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김 연구위원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경기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우려되는)글로벌 유동성 위축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글로벌 경기가 개선되면 신흥국 자본유입은 재개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2000년대 IT버블 이후 겪은 경험을 논거로 제시했다. 미국은 2001년 IT버블 붕괴로 금리를 인하했지만 2004년 이후 금리를 연이어 인상했다. 2000년대 중후반 미국, 유럽, 일본의 민간부문 신용총량(글로벌 유동성)은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 신흥국에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됐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