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라 인터내셔널은 18일 한국 경제가 과거 일본과 대만처럼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에 빠질 위험이 크다는 우려에 대해 "오히려 한국 정책 당국이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작게 보는 경우보다 과대평가하는 경우의 리스크(위험)를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영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내놓은 아시아 스페셜 리포트에서 "한국과 전 세계 거시경제 전망을 감안할 때 한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진입할 것이란 우려는 과장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4년 만의 최저 수준인 1%대로 떨어지는 등 물가지표들이 하락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끝날 것으로 전망했다. GDP(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것) 상승률은 지난해 0.9%에 그쳤지만 올해 1.3%, 내년 2.0%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과거 한국의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1999년과 2006년 각각 마이너스로 떨어졌을 때도 일본·대만과 달리 일시적 하락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과 대만, 한국이 인구구조나 신흥국으로의 제조시설 이전, 민간부문 부채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 만 놓고 볼 때 실질 GDP와 통화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작다고 분석했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정부와 정치권이 전체 GDP 대신 수출 등 단편적인 부분에 지나치게 큰 비중을 두고 한국은행에 또다시 기준금리 인하 압력을 가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저금리가 길어질수록 중소기업과 가계부채 문제가 더 악화되고 새로운 형태의 신용버블(거품)이 생길 위험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디플레이션을 근본적으로 막으려면 통화정책보다 기업의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 1980년대 중반에 일본 정부가 디플레이션을 우려해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하면서 부동산 거품을 키운 경험이 있다"며 "디플레이션을 피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통화 정책을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내수투자를 늘릴 수 있는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장기 국채 금리 하락으로 회사채 투기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