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유동성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급증해 우리나라에 ▲통화가치 상승 ▲금융시장 불안정성 증대 ▲원자재 가격 상승 압력 ▲통상환경 악화 등 4가지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22일 경고했다.

연구원은 미국 연방제도이사회(FRB)의 본원통화와 전세계 외환보유액 규모를 대리변수로 글로벌 유동성을 추정한 결과, 글로벌 유동성이 2000년 2조6000억달러에서 올해 8월 13조7000억달러로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2010년과 지난해에 각각 전년대비 9.4%, 14.6%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같은 글로벌 유동성의 급증으로 투자자금이 지속적으로 아시아 등 신흥국으로 유입되고 있다. 전체 투자자금 중 아시아지역으로 유입되는 비중이 2008년 22%에 그쳤으나 올해는 50%로 급증했다. 이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가치가 계속 상승했고 원화가치는 올해 7월대비 5.6% 절상됐다.

외국인 투자자금이 장기 직접투자 보다는 주식 채권 등 단기 포트폴리오 투자에 집중됨에 따라 자산시장의 버블 가능성도 높아졌다. 올해 3분기 기준 외국인의 증권 및 파생상품 투자는 전년대비 16% 증가했고 외국인 투자 중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60.4%에서 올해 3분기 63.8%로 상승했다. 외국인 주식 투자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경우 주가 급락 등 금융시장 불안정이 초래될 위험성을 안고 있다.

세계적으로 원자재 투기 수요가 급증해 원자재가격 상승 압력이 고조되고 이는 물가 불안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올해 10월 기준 옥수수에 대한 투기 수요는 전년동월대비 58.3% 급증하고 금에 대한 투기수요는 84.3%나 늘어났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금과 옥수수 가격지수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8.6%, 14% 상승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로 환율전쟁이 가속화되면 자국 통화가치를 둘러싼 보호무역주의가 심화돼 수입규제 조치들이 늘어날 수 있다. 이미 반덤핑 등 수입규제건수는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덤핑 피소 건수는 중국이 853건으로 1위였고, 그 다음으로 우리나라가 284건으로 2위였다. 제소 건수는 인도가 656건, 미국이 458건으로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