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기 장기침체 등 경기 부진 여파로 부실 중소기업 45곳이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작업)에 들어가며 52곳은 퇴출절차를 밟는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의 신용공여 규모가 50억~500억원인 중소기업 중 부실 가능성이 있는 1356개 회사를 대상으로 세부적인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워크아웃 대상인 C 등급 45개, 퇴출(법정관리) 대상인 D 등급 52개 등 총 97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2010년 121개보다는 줄어든 수치지만 지난해 77개 보다는 26% 늘어난 것이다. C등급은 지난해의 43개와 비슷했으나 D등급은 34에서 크게 늘어났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 중 상장사는 없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숫자가 늘어난 것은 채권은행들이 경기 침체기에 위험 관리를 강화하면서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44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부동산업(13개)·건설업(13개)·도소매업(11개) 순이었다. 경기 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건설·부동산 업종은 총 26개로 지난해 14개보다 85.7%나 늘었다. 운송업도 지난해엔 구조조정 대상이 없었지만 올해는 6개 기업이 포함됐다.

이번에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97개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9월말 기준 은행 8720억원, 저축은행 961억원, 보험회사 221억원 등 총 1조2735억원 규모다. 금감원은 97개 기업의 건전성을 재분류하면 은행권은 총 4093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은행들은 9월말까지 1108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고 2985억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금감원은 97개 기업 구조조정으로 은행권 부실채권 비율은 9월말 1.56%에서 1.62%로 높아지고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은 13.83%에서 13.8%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C 등급으로 분류된 업체는 자산부채를 실사하고 경영정상화 계획을 수립해 워크아웃을 추진하게 된다. 금감원은 주채권은행이 책임지고 기업을 정상화하도록 유도하고 은행 검사 시 경영정상화 진행상황과 관리실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D 등급 업체는 채권금융회사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게 해 사실상 정리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금감원은 신용위험 평가에서 정상 등급을 받은 기업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합리적인 이유 없이 워크아웃이 중단되지 않도록 채권단에 대한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B 등급 업체 중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기업은 패스트 트랙(Fast-Track·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적인 중소기업을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한 제도) 프로그램을 적용해 자금을 지원하고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센터'를 통해 워크아웃 업체의 협력업체를 지원할 예정이다. 채권 은행들은 B 등급 기업 중 41개 기업에 대해 패스트 트랙을 적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