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수가 급증하면서 부실 점포 수도 덩달아 늘고 있다. 경쟁 당국은 편의점의 확장세가 과도하다고 판단, 점포간 거리 제한 등을 포함한 연내 모범거래기준을 만들 계획이다.

5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06년 말 9928개였던 편의점 수는 2007년 말 1만1056개로 1만개를 넘어섰고 지난해 말엔 2만1221개로 2만개를 돌파했다. 신규 점포는 2009년 1645개, 2010년 2807개, 지난해 4284개로 매해 두 배씩 늘었다.

점포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점포당 수익성은 악화됐다. 국내 최대 편의점 체인인 CU(구 훼미리마트)의 점포당 매출액은 2008년 5억4389만원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5억원을 겨우 넘었다. 세븐일레븐의 경우 같은 기간 5억2314만원에서 2010년 4억767만원으로 떨어졌다.

점포당 매출이 줄자 부실률도 상승하고 있다. 신용보증기금의 집계를 보면 전체 편의점 중 휴업, 또는 폐업하거나 대출 원금과 이자를 내지 못하는 부실 편의점의 비율은 2010년 4.6%에서 올 1분기 8.7%, 2분기 8.8%,로 상승했고 지난 8월말엔 9.5%로 10%를 바라보고 있다. 10개 점포 중 1개 점포가 부실 점포인 것이다.

반면 편의점 가맹본부의 이익은 급증세를 보이는 등 대조를 이뤘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순이익이 2006년 290억원에서 지난해 774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고, 세븐일레븐를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의 순이익은 같은 기간 10억원에서 510억원으로 폭증했다.

편의점 가맹본부와 점포 간 수익 격차가 심화되자 공정위는 돋보기를 들이대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올해 안에 편의점 모범거래기준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준엔 편의점 점포 간 영업거리에 제한을 두는 내용이 포함될 전망이다.

앞서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도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편의점 프랜차이즈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 전반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가맹본부가 가맹점주에게 리모델링을 강요하거나 판촉 비용 부담을 전가한 행위 등이 불공정행위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