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기준에 맞지 않는 공시를 많이 올린 150여개 상장법인에 대해 지도를 강화하기로 했다. K-IFRS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제정한 국제회계기준(IFRS)의 한국 버전으로 지난해부터 모든 상장법인에 의무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금감원은 유가증권 655곳, 코스닥 945곳 등 총 1600곳의 12월 결산 상장법인이 공시한 2011년 사업보고서의 재무공시사항 121개 항목을 점검한 결과 K-IFRS 기준에 맞지 않은 미비사항이 10개 이상 발견된 회사가 9.9%(약 158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전체 상장법인의 미비사항은 1사당 평균 4.5개였으며 미비사항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회사는 288곳(18%)이었다. 이들 288곳을 포함해 미비사항이 5개 이하인 회사는 1088곳(68%)이었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에서 발견된 미비사항수가 평균 3.3개인데 비해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평균 5개로 다소 많았으며 자산규모별 미비사항 수는 자산 1000억원 미만 회사가 평균 5개, 2조원 이상은 평균 3.15개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미비사항수가 적었다.

이번 점검결과 K-GAAP(K-IFRS적용 이전에 적용됐던 일반회계기준)과 K-IFRS 차이조정 미공시, 주석 전체 누락 등 회계정보 이용자들이 잘못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미비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금감원측은 K-IFRS를 적용한 최초 정기보고서인 '2011년 1분기보고서' 점검 당시 점검대상회사의 7%(111사)에서 중요한 미비사항이 발견됐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미비사항은 대부분 금융상품, 연결정보, 영업부문별 공시 등과 관련된 것이었다. 예를 들어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 평가시 시장가격이 아닌 평가기법을 사용한 경우 할인율, 배당추정액 등 투자자들이 공정가액 평가가 적정한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일부 누락한 경우 등이 해당한다.

금감원은 미비사항이 발견된 회사 및 감사인에게 미비사항을 개별 통보하고 자진 수정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미비사항이 과다한 회사에 대해서는 하반기에 반기보고서를 재점검하는 등 유사한 기재사항의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