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수출액 8조6100억원, 민간 투자 3조5500억원, 고용 1만6000명을 달성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

지식경제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실행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이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4대 전략과 전략별 23개 세부 추진과제도 제시했다.

정부는 올해 4대 전략으로 전략적 R&D와 사업화, 산업화 촉진과 시장창출, 수출산업화, 기업성장 기반강화를 내세웠다.

먼저 전략적 R&D와 사업화 추진을 위해서는 지경부와 교과부, 농식품부, 환경부, 국토부, 농진청, 산림청 등이 신재생에너지 R&D 사업으로 총 3737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지경부가 2273억원, 교과부 290억원, 농식품부 60억원, 환경부 773억원, 국토부 135억4000만원, 농진청 79억9000만원, 산림청이 12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범부처 신재생에너지 R&D 연계·협력 강화를 위한 협의회(실무팀)를 구성·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 분야 시너지효과 창출을 위한 공동 추진사업(범부처 공동 메가프로젝트)을 적극적으로 발굴한다. 지난해 6월 테스트베드로 선정된 6개 지역에 대해서는 장비구축을 본격화하며 연구시설과 관련기업의 집적화를 유도한다.

또 산업화 촉진과 시장창출을 위해서는 주택분야 에너지공급을 태양광·태양열·지열 등으로 대체, 2020년까지 그린홈 100만호를 구축한다. 10대 그린프로젝트와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을 추진하고 수송분야의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RFS)을 마련한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RPS 제도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부문에서 공공기관의 역할을 강화한다. 전기 다소비가구를 대상으로 태양광주택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햇살가득홈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기업 등이 취약계층에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제공해주는 자발적 기부의 도입·확산도 유도한다.

수출산업화 촉진을 위해서는 '제3회 신재생에너지대전'을 개최(10월 9일~12일, 코엑스)하며 신재생 기술 선도국가와 전략적 협력활동을 전개하고 민·관 협력강화를 꾀한다. 전 세계적으로 대형화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5MW 이상급 풍력터빈의 성능검사를 위한 장비구축을 지원하며 실생활속에서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36.5도 제품의 발굴·보급을 확대한다.

이 밖에도 기업성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기업에 대한 원활한 금융 대출을 위한 신·기보를 통한 보증펀드를 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한 세제지원 관련 미비점도 보완한다. 신재생에너지원별 산업발전전략을 수립하고 범부처 차원의 육상풍력 입지규제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김준동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은 실행계획 수립과 관련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연료 고갈과 온실가스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서 우리나라 에너지자급율을 높일 수 있는 귀중한 에너지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11년 한 해 동안 지경부, 교과부, 농식품부, 환경부, 국토부, 농진청, 산림청 등 정부부처가 보급사업과 R&D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지원한 금액은 총 1조1539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러한 정부지원에 힘입어 민간투자액은 2007년 7000억원에서 2011년 4조6500원으로 6.6배 확대됐고 같은 기간 수출액은 71000억원에서 6조9200억원으로 9.7배 성장했으며 고용인원도 3600명에서 1만5000명으로 4.2배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