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성장의 축으로 믿었던 내수에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다. 국민들의 성장 체감도를 보여주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의 증가율이 지난 1분기 0.2%에 그쳐 1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존 재정위기에 따른 지난해 연말 경기 부진 여파와 국제유가 상승 등에 영향을 받은 결과다. 경제성장(전분기 0.9%)이 국민들의 물가를 감안한 실질 소득 증가로 거의 이어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그만큼 국민들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졌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대외 경제부문 불안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문이 경기회복세를 이끌 것이라는 당초 예상에 빨간불이 켜졌다. 한국은행에서는 내수 부문의 성장이 어렵다는 분석도 나왔다. 지난해 하반기 호전됐던 총저축률이 올해들어 다시 낮아진 것과 실질 GNI의 둔화와 무관치 않다.

한편 지난 1분기 경제 성장률은 지난 4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은 전년동기비 2.8%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과 건설업 성장이 부진한 가운데 서비스업이 성장을 이끈 모양새다.

명목 GNI에서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GNI는 실질 GDP와 교역 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 실질 국외순수취 요소소득 등이 모두 반영된 수치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실질 소득의 합계를 의미한다.

◆ 실질 국민총소득 제자리‥"내수부문 성장 힘들어져"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실질 GNI 증가율은 전분기대비 0.2%로 지난해 4분기의 전분기의 작년 4분기(1.0%)에서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1분기(0.0%) 이후 최저치다. 국제유가 강세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분기 중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 당 120달러 중반까지 올랐다.

명목 GNI 증가율도 전년동기대비 4.9%로 지난해 2분기(4.9%)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해 3, 4분기에는 각각 5.3%와 5.5%씩 늘었다. 전기비로도 0.6% 증가하는데 그쳐 역시 지난해 2분기(0.6%) 이후 최저치였다.

1분기 총 저축률은 31.3%로 전기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최종소비지출 증가율(2.2%)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0.4%) 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국내 총투자율도 29.5%로 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교역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은 실질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1.4% 상승했고 내수 디플레이터는 3.4% 올랐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에서는 당분간 내수 부문의 성장이 어려울 것으로 봤다. 정영택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전체적으로 향후 내수 부문의 성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수출 움직임이 경제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라며 "수출 향방에 따른 제조업 부문의 성장세를 주요하게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 1분기 GDP 성장률 2.8% 확정‥속보치와 같아

이날 함께 공개된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전기대비로는 0.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앞서 지난 4월에 공개된 속보치와 같은 수준이다. GDP(국내총생산) 속보치에 반영이 안된 3월 광공업 생산 부진 등에도 불구하고 GDP 증가율이 하향 조정되지는 않았다.

부문별로 보면 제조업은 전기보다 2.0%, 서비스업은 1.1% 성장한 반면 건설업은 1.7% 뒷걸음질쳤다. 속보치에 비해 제조업과 건설업은 각각 0.2%포인트와 0.7%포인트 하향 조정된 반면 서비스업은 0.2%포인트 상향됐다.

지출 항목별로 민간 소비는 1.0%, 설비투자가 10.3%, 재화수출이 4.2%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부진 등으로 1.2% 감소했다.

경제활동별 및 지출 항목별 성장기여도(전기비 성장률 0.9% 기준)는 내수가 1.3%포인트인 것으로 추산됐다. 이중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각각 0.5%포인트였으며 설비투자는 1.0%포인트로 조사됐다. 건설투자는 -0.2%포인트로 집계됐다. 대외 부문의 성장기여도를 나타내는 순수출은 -0.5%포인트로 집계됐다. 수출이 1.7%포인트, 수입은 2.2%포인트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