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5일 "유로존 위기 재발 가능성이 고조된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가 높아지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재정부는 이날 발간된 '최근의 경제동향 6월호'(일명 그린북)에서 "최근 우리경제는 고용개선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고 실물지표가 다소 회복됐으나 대외 불안요인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그린북에서는 대외 불안요인에 대해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증가했다"에서 "확대했다"라는 표현으로 우려가 한단계 높아진 것이다.

재정부는 지난 석달 동안의 수출 감소세로 인한 실물경기 영향에 대한 우려도 강조했다. 재정부는 "5월 수출은 자동차부품과 일반기계 수출이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으나 휴대폰과 선박 수출이 감소했다"면서 "광공업생산은 반도체 등 주요품목 중심으로 완만한 개선이 예상되나 일부품목 수출 감소 등에 다소 영향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내수 소비에 대해서는 증가세가 유지될 것이라며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재정부는 "5월 소매판매는 속보지표 동향 등을 감안할 때 4월에 이어 개선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면서 "신차, 신형 스마트폰 출시, 올림픽 특수 등도 소비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 "5월 서비스업 생산 역시 (주가 하락 등으로)금융·보험업이 다소 부진하겠으나 소매판매 증가 등으로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개선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재정부는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되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소비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나타냈다.

재정부는 향후 정책 대응 방향에 대해 "대내외 경제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경제활력 제고와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생활 물가안정과 일자리 창출 등 서민생활 안정과 경제체질 개선을 위한 정책대응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