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이 오히려 시장기능을 혼란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오비스홀에서 열린 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유통환경 변화와 대형마트의 대응방안’이란 발제를 맡은 이승용 롯데마트 채소곡물팀 과장은 “정부는 물가안정 정책이란 미명아래 각 업체들을 불러 인위적으로 가격을 내리라고 권유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과장은 “2011년산 쌀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이란 명분으로 2009년산 정부쌀을 팔라고 하는데 이런 정책은 소비자보다는 도매쪽이나 식당만 혜택을 받는다”며 “정부가 품목을 정해 간섭을 하는데 이 같은 인위적인 가격조정이 오히려 시장 기능에 혼란을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인위적인 가격조정 이외에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 지자체의 지역상권 보호 정책 등도 대형마트 업계를 어렵게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특히 그는 “월 2회 의무휴업을 시행하면서 전체 매출이 4.4% 빠졌다”며 “쉬는 일요일 매출이 다른 요일로 약 30%만 전이돼 나머지 70% 가량은 손실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형마트 업계에선 쉬는 일요일에 앞서 미리 장을 보는 소비자들이 많을 것으로 보고 일요일 매출 피해가 평일 일요일보다 50% 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쉬는 일요일의 매출이 금·토요일, 월요일 등으로 전이된 효과는 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환경이 악화되면서 대형마트들이 M&A, 해외시장 개척 등으로 눈을 돌리는 한편, 농축산물 생산 및 유통 구조를 수직계열화하고 있다.

이 과장은 “대형마트들이 계약재배를 확대할 뿐 아니라 농산물을 직접 재배하고 포장센터까지 운영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비용은 줄이고 수익은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직계열화 추세는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손용석 경희대 경영대학원 부원장은 “기업형슈퍼마켓(SSM) 등에 대한 규제는 정당하지만 효율적인 규제는 아니다”라면서 “지자체 조례인 관계로 3~4년 후에는 거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바르게 소비할 수 있도록 깨우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