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심 한복판에 있는 102만8455㎡(약 31만1000평) 규모의 철도시설 부지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도시개발계획이 수립된다. 이는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꼽히는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부지(56만6800㎡·약 17만1400평)의 두 배에 육박하는 규모다.

국토해양부는 부산차량 정비단, 가야역 구내, 미군잉여재산 처리장 등 총 108만8455㎡에 대한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지난달 말 발주했다고 1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 상태에서는 부산 도심에 있는 철도시설을 외곽으로 이전하는 것이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해 민자로 이전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시개발계획이 수립되고 민간 사업자가 뛰어들면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이 부산에서도 진행되는 것이다.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도 용산 철도창이 있던 부지에 100층짜리 초고층 빌딩과 최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백화점, 문화시설 등을 짓는 사업이다.

부산진구 가야역 인근에 걸쳐 있는 철도시설물의 위치도. 국토해양부와 부산시는 이곳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종합개발계획을 수립 중이다.

부산진구에 있는 철도 시설물은 1900년대 초부터 들어서기 시작했다. 당시엔 철도시설물 주변이 논밭이어서 별 문제가 없었지만, 철도시설물 주변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이 일대는 점점 슬럼화되기 시작했다. 또 철도 시설물 부지는 가야역을 중심으로 'ㄱ'자 모양으로 펼쳐져 있어 부산진구를 북동·서남 지역으로 갈라놓고 있다. 이 지역은 부산시청과 직선거리로 3㎞ 남짓한 거리에 있고 해운대와는 10㎞쯤 떨어진 중심 지역이다.

철도시설의 이전 문제는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부산시는 철도시설을 외곽으로 이전하기 위해 2009년 10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경제적 타당성분석 연구용역을 진행했으나 예상비용이 예상편익의 두 배가 넘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용산 개발사업도 서울시가 의지를 갖고 개발계획을 수립하자 사업자들이 달려든 것"이라며 "부산 철도시설 부지도 개발계획이 수립되면 땅의 활용도가 높아져 민간 사업자들이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부산 철도시설 부지는 2종 일반주거지역 등으로 돼 있고 별다른 개발계획은 없는 상태다. 국토부와 부산시는 이 일대의 용도지역을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국토부가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할 지역은 부산 차량 정비단(60만639㎡·18만1700평), 미군잉여재산 처리장(3만19㎡·9080평), 가야역 구내(27만5062㎡·8만3200평), 부산 차량 사업소(5만4323㎡·1만6432평), 가야 차량 사업소(4만7850㎡·1만4474평), 물류 차량과(2만562㎡·6220평) 등이다.

종합개발계획에는 철도시설이 이전한 자리에 어떤 시설물을 배치할 것인지와 건축물의 용도, 밀도, 높이를 어떻게 할 것인지가 담기게 된다. 철도시설물은 이전을 전제로 하되 이전이 어려운 시설은 데크화(뚜껑 덮기) 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