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를 대신해 각종 도시개발·지하철 운영 등을 맡고 있는 전국 51개 지방공사 부채가 4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대강 살리기 사업비(22조원)의 2배, 세종시 사업비(16.5조원)의 3배와 맞먹는 수준이다. 이들 공사가 내는 연간 이자만 1조원을 넘는다. 하지만 상당수 공사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고 있다.

1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SH공사·경기도시공사 등 전국 51개 지방공사의 총 부채는 작년 6월 말 현재 46조1933억원으로 2006년 말(22조3866억원)보다 23조8067억원(106%) 늘어났다.

광역자치단체 소속 16개 도시개발공사가 지방공사 전체 부채의 84%인 38조원을 차지해 지자체마다 경쟁적으로 추진했던 개발 사업이 지방공사 부채를 늘린 주원인으로 분석됐다. 각종 뉴타운과 택지개발 등 개발사업이 집중됐던 SH공사(16조원)·경기도시공사(6조원)·인천도시공사(4조원) 등 수도권 3개 도시공사가 진 빚만 26조원으로 전체의 60%에 달한다.

일부 지방공사는 이미 부채가 위험 수준을 넘어섰다. 경기 양평지방공사는 부채비율이 7868%로 자본 잠식 상태다. 태백관광공사는 태백시 작년 예산(2348억원)의 1.4배에 달하는 빚을 지고 있다.

빚이 늘면서 51개 지방공사가 2006년 말 이후 3년6개월간 지불한 이자만 4조5100억원으로 연평균 1조원을 웃돈다. 2014년까지 내야 할 이자도 5조6000억원이 넘는다.

문제는 상당수 공사가 영업해서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기 힘들다는 것. 하지만 빚더미 지방공사 직원들의 월급과 성과급은 빠짐없이 나오고 있다. 건국대 이현석 교수는 "지방공사의 경우, 단체장이 약속한 공약을 무조건 떠안아 경제성에 관계없이 추진한 사업이 많고 재무구조도 부실해 지금으로선 빚 갚기가 쉽지 않다"면서 "공사가 파산하면 결국 지자체가 메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재정 파탄과 지역주민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