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제천시 봉양읍 일대 146㎢(4410만평). 정부는 낙후지역을 발전시킨다는 명목으로 2004년 이곳을 '개발촉진지구'로 지정했다. 도로 등 기반시설은 정부가 설치하고 민간자본 3700억원을 유치해 스키장·호텔·골프장 등을 짓겠다고 계획했다.

2년 뒤 정부는 이곳을 다시 '중부내륙권 개발지구'로 지정했다. 제천시 전역(882㎢)을 관광휴양 거점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에 봉양읍도 포함시켰다. 이게 끝이 아니다. 2009년 말에 다시 봉양읍이 포함된 제천시 일대 326㎢를 '중원문화권 특정지역'으로 지정했다. 역사문화와 관광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이었다.

봉양읍만의 사례가 아니다. 정부가 각종 개발사업을 하겠다며 전국적으로 지정해 놓은 지역·지구는 종류만 53가지에 이르고, 지정된 지역·지구 수는 1553곳(시·군·구 기준)에 달한다. 이 중 183곳은 2개 이상 중복지정돼 전체 지역·지구 면적(12만46㎢)은 남한 전체 국토 면적(10만210㎢)의 1.2배에 달한다.

정부는 정확한 전체 사업비조차 추산 못하고 있다. 본지 분석결과 전체 53개 종류의 사업 중 혁신도시·초광역벨트 등 규모가 큰 7개 종류의 사업을 완료하는 데만 1년 정부 예산(309조원)보다 많은 375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 이현석 교수는 "정확한 수요 예측이나 타당성 검토 없이 선거 때마다 선심성으로 남발된 개발 공약에 전 국토가 누더기로 변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