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29일 "(미국의 대규모 적자와 중국의 대규모 흑자 등) 글로벌 불균형 문제는 (지난주) 경주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해소원칙을) 합의했다"면서 "다음달 11~12일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는 구체적인 수치보다, 진전을 만들기 위한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 28일 청와대에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이날 청와대가 밝혔다.

이 대통령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추가로 환율 갈등을 해소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인지에 대해 "굳이 (구체적인) 수치까지는 논의 안 해도 되지 않겠나 이렇게 본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주 열린 경주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각국의 경상수지 흑자 폭 또는 적자 폭이 국내총생산(GDP)의 ±4%를 벗어나지 않기로 하자"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독일·일본 등이 반대해 수치를 정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는 환율문제에 대해 각국이 외환시장 개입을 최대한 자제키로 했던 경주회의 합의 내용보다 강화된 수준의 구체적인 환율 갈등 해소 방안은 추가로 논의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발언을 29일자에 실은 파이낸셜타임스는 '한국, G20 무역 합의 도출에 낙관적'이라는 제목으로 "이 대통령이 '서울 정상회의에서 많은 이견이 드러날 가능성이 있지만 독일과 중국이 보다 강력한 규정 도출에 협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는 서울 정상회의에서 환율문제가 다시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독일과 중국이 경주회의 합의보다 강력한 규정을 받아들일 것이라는 뜻이어서 이 대통령의 실제 발언 내용과 다르다고 청와대가 해명했다.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로 파장이 커지자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실제 발언과 거리가 있는 부분이 있다"면서 인터뷰 원문을 공개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북한 관련 내용에서도 "이 대통령은 지난 3월 한국 전함을 잠수정 어뢰로 공격한 북한이 여전히 호전적 세력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지만, 실제 발언은 "북한은 아직도 김정일 위원장의 강력한 통치권하에 있다. 북한의 도발이 언제든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경각심을 가지고 있다"는 내용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