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사./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항공청 출범에 맞춰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우주 개발이나 우주 산업 활성화 관련 부서가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되면서 연구개발 분야 조직을 재정비할 필요성이 있어서다.

과기정통부는 조직개편 내용을 반영한 직제 개정안이 27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우주항공청으로 우주와 관련된 조직과 인원이 이관되면서 과기정통부 제1차관 산하 연구개발정책실의 조직 재정비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우주항공청에 이관되는 부서는 우주정책과 산업, 국제협력 관련 2개 부서에 34명이다. 과기정통부 소속기구였던 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18명도 함께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됐다.

우선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술분야별로 조직을 정비했다. 첨단바이오를 비롯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소재 등 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부서를 개편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라는 임무를 명확히 했다. 기존에 6과, 1팀 체제에서 4과 2팀 체제로 바뀌게 된다. 나노소재기술팀과 생명기술팀이 신설된다.

2개 과가 우주항공청에 이관되는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기술 분야 간 융합과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을 지원하는 조직으로 개편된다. 국의 이름을 공공융합연구정책관으로 바꾸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국방·치안·복지·안전 등)을 위한 전담부서인 공공융합기술정책과가 신설된다.

핵융합·청정 수소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가뭄·홍수 등 더욱 빈번해지는 기후 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 적응 기술 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신설된다. 또 초거대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와 탄소중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원자력연구개발 전담부서도 확대 개편된다.

우주항공청 출범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이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조직 개편 후 연구개발정책실 조직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도 신설된다.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는 가속기를 비롯한 대형연구시설의 운영, 활용을 고도화하고, 대형연구시설이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연구성과혁신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역할도 일부 바뀐다. 연구성과혁신관은 공공기관 지정 해제 이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혁신을 지원하고, 딥사이언스 스타트업 창업, 대학·출연연 간 칸막이 해소 등의 역할을 맡는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조직개편이 하드웨어적인 조직 정비에 머물지 않고,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도약, 국민 삶의 질 제고의 임무 완수를 위한 부처 내·외 협업 활성화, 현장 중심의 일하는 방식 혁신 등 소프트웨어적인 혁신으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