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김영태 서울대병원장, 김용태 국회의원, 박중신 서울대병원 진료부원장, 최은화(앞줄 왼쪽) 소아암ㆍ희귀질환 지원사업단장이 서울대어린이병원에서 열린 '이건희 소아암ㆍ희귀질환 극복사업, 함께 희망을 열다, 미래를 열다' 행사에서 환아ㆍ의료진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이 내년부터 국내 주요 병원과 협력해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한 소아청소년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환자에게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를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소아암 중 가장 흔하다. 국내에서 매년 약 200명이 발생하고 있다.

30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005930) 선대회장이 남긴 소아암·희귀질환 극복 사업 기부금을 통해 자체 생산한 CAR-T 치료제를 무상으로 제조·공급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기존 병원에서 치료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AR-T 치료제는 면역 세포인 T세포를 추출한 후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특정 세포를 겨냥하도록 한 것이다. 환자 혈액의 T세포에 암세포를 인식하는 수용체를 주입해 대량으로 증식한 뒤, 다시 환자에게 주입한다. 이를 통해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암세포만 공격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재발하거나 기존 항암 치료법이 듣지 않는 불응성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환자에서 생존율을 약 60%로 끌어올리는 효과가 입증된 혁신적인 치료법이다. 기존 항암치료로 생존율이 향상됐지만 재발하거나 치료에 불응하는 환자의 생존율은 여전히 10~30%로 낮다. 이들에게는 고용량 항암제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 후 건강한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를 투여하는 조혈모세포 이식이 치료 대안이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기존 항암 치료보다 성적이 좋지만, 재발 위험이 높고 자체 독성으로 폐 기능 저하, 영구 탈모, 영구 불임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병원은 조혈모세포 이식 대상 환자들에게 CAR-T 치료제를 자체 생산해 제공하고 있다.

소아암·희귀질환사업단 소아암사업부장인 강형진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조혈모세포이식은 재발 위험이 아주 높은 백혈병 환자들에게 할 수 있는 마지막 치료법이지만, 치료 성적이 아직 만족스럽지 않으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CAR-T 임상 연구를 통해 조혈모세포이식 전에 CAR-T를 먼저 투여해 백혈병 세포를 완전히 없애고 이식을 진행해 치료 성적을 높이거나, 가능하다면 이식을 대체해 환자들이 평생 큰 합병증 없이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다기관 CAR-T 임상연구 모식도. /서울대병원

글로벌 제약 기업 노바티스의 ‘킴리아’ 같은 기존 상업용 CAR-T 치료는 환자 혈액을 해외로 보내고 생산 후 다시 한국으로 가져와 치료하는 방식인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서울대병원은 자체 GMP(우수의약품제조인증) 생산시설을 활용해 CAR-T 치료제를 병원 내에서 직접 생산해 치료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2022년 4월 첫 환자에게 CAR-T를 성공적으로 투여하며 임상 연구를 시작했고 기부금 지원이 시작된 올해 4월부터 더 많은 환자에게 치료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병원은 현재까지 기부금으로 CAR-T 치료를 받은 8명의 환자 모두 백혈병이 완전히 치료됐으며, 특별한 합병증 없이 일상생활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서울대병원은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등과 협력해 다기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환자 약 50명에게 자체 생산 CAR-T 치료제를 공급해 치료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강형진 교수는 “고(故) 이건희 회장의 기부금으로 많은 환자들이 CAR-T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