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아동병원협회가 30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아동병원의 소아응급실화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아동병원이 처한 현실과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내 소아의료체계가 무너지면서 상급종합병원이 할 수 있는 소아응급실 기능을 아동병원이 수행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이 하락하면서 중증도에 따른 병원 분류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30일 오후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아동병원의 소아응급실화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아동병원협회는 지난 27일부터 29일까지 국내 아동병원 117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0곳이 응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아동병원의 90%는 장비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응급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급차를 통해 들어오는 환자가 매월 5명 이하라고 답한 병원은 56%였으며, 6~10명은 22%, 11~15명은 4%, 16명 이상은 6%였다. 이 중 환자가 준중증 이상인 경우는 5건 이하가 52%, 6~10명이 10%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증 진료 장비가 부족해 상급병원으로 다시 옮기려 해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들 병원은 중증 응급환자를 전원하기 위해 환자 1명 당 연락한 대학 병원의 수가 5곳 이하인 경우가 90%라고 답했다. 6~10곳에 연락했다는 병원도 6%에 달했다. 중증 위급환자를 받았을 때 다시 상급병원으로 옮기기 어렵다고 답한 아동 병원은 72%에 달했다.

지역에 따른 중증 위급환자 치료의 가능 여부도 큰 차이를 보였다. 지역 안에서 치료가 어려워 권역을 벗어나 환자를 전원한 비율은 50%였다. 지난 한 달 간 진료권역을 벗어난 사례는 5건 이하가 40%, 6~10건은 2%, 20건 이하는 2%로 조사됐다.

정성관 아동병원협회 부회장은 “아동병원은 응급 환자가 이송되지 않으면 여러 명의 의사와 간호사를 투입해야 한다”며 “응급환자가 온 경우에는 일반 진료를 할 수 없고 법적인 책임까지 감당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동병원은 지역의료도 책임져야 하지만 응급 환자가 계속 들어와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응급실은 응급 환자를 보기 위한 자원이 준비돼 있으나 아동병원은 그렇지 않다”고 덧붙였다.

아동병원협회는 정부에 소아 의료시스템을 재건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치료 장비 투자와 입원전담전문의 같은 인적 자원 지원을 통해 상급종합병원이 소아응급실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용재 아동병원협회 회장은 “아동병원 소아응급실화는 소아의료시스템 붕괴로 발생하고 있다”며 “소아 의료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부서를 보건복지부 내에 만들고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아동병원과 소방청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아동병원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빈사 상태인 소아 의료를 되살릴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