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집단휴진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환자가 오가고 있다./뉴스1

서울대병원 대면 진료 교수의 절반이 넘는 529명이 17일부터 진료 행위를 멈춘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교수들의 휴진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대면 진료 교수 967명 중 54.7%에 해당하는 529명이 17일부터 22일까지 외래 휴진이나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했다. 서울대병원 수술장 예상 가동률은 62.7%에서 33.5%로 떨어질 전망이다. 임상과 20개 모두 휴진에 동참한다.

또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 529명을 포함해 전체 교수의 90.3%인 873명이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제출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휴진으로 인한 진료 예약 변경은 교수가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의 지원을 통해 환자에게 알리고 있다”며 “현재까지 비대위가 접수한 모든 지원 요청 건에 대한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를 완료했다”고 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과 비공개 회동을 가졌지만, 특별한 해결책을 찾지는 못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이날 간담회에서 전공의에 대한 행정 조치 취소와 정부·의사단체 간 상설협의체 구성, 의대 정원 관련 의료계와 논의 등 세 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야당 복지위 간사인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복지위와 서울대 비대위, 서울대 병원 집행부는 현재 의정 갈등 상황이 장기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국민 건강권이 가장 우선이라는 점에 대해 모두 공감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