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구로구 구로동과 성북구 석관동, 중랑구 망우3동, 묵2동 등 4곳을 저층주거지 정비방식 ‘모아타운’ 대상지로 추가 선정했다.

서울시는 지난 24일 2023년도 4차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공모를 신청한 6곳 중 4곳을 대상지로 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모아타운 대상지 위치도./서울시 제공

.모아타운은 서울시가 추진 중인 저층 주거지 정비사업 방식이다. 대상지로 선정된 4곳은 노후한 다세대·다가구가 밀집돼 있어 고질적인 주차난과 함께 열악한 기반시설로 지역 주민들이 오랜 기간 불편을 겪어 왔다. 또 반지하 주택이 다수 분포해 주거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우선 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5만7000㎡)는 전체 노후도가 약 88%에 달하고 단독·다가구 주택 비율이 84% 수준이다. 전형적인 노후 저층 주거지로 상습적인 주차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곳이다. 성북구 석관동 124-42 일대(4만8144.7㎡)는 노후도가 78%로, 기존 주택재건축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된 이력이 있다. 주변 지역에 비해 그동안 개발이 되지 않아 슬럼화된 곳이다.

중랑구 망우3동 474-29 일대(8만1648.7㎡)는 노후도가 72% 이상으로, 단독·다가구·다세대주택이 많은 곳이다. 중랑구 묵2동 243-7 일대(6만2681.7㎡)는 중랑천에 인접한 곳으로, 노후도가 70% 이상이며 다세대·다가구 주택이 밀집돼 있다.

이번에 함께 공모 신청한 강북구 수유동·금천구 시흥5동 일대는 선정에서 제외됐다. 금천구 시흥5동 219-1 일대(9만7824㎡)는 모아타운 대상지 내 진입도로 확보가 어렵고, 사업예정구역 경계를 두고 판단했을 때 향후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미선정 됐다. 강북구 수유동 141 일대는 대상지 내 주거 및 상가 밀집 지역이 혼재돼 사업 실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모아타운 구역과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 계획 등을 추가 검토·조정하는 것을 조건으로 보류됐다. 서울시는 지분 쪼개기 등 투기 수요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이번 4차 대상지 선정에 공모 신청한 곳에 대한 권리산정기준일을 오는 30일로 지정·고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