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범야권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의 시민사회 몫 비례 후보 4명을 선정한 연합정치시민회의 측에 11일 재추천을 요구했다. 시민사회 몫 1순위로 뽑힌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 정영이 전국농민회총연맹 구례군농민회장 등이 사실상 진보당 계열 인사라는 의혹이 불거져서다. 과거 한미연합훈련 및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반대 시위를 벌이거나 이적(利敵) 단체와의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민주당 내부에선 선거에 악재로 작용할 거란 우려가 크다. 다만 시민사회 측은 “공개오디션으로 투명하게 결정했다”는 입장이어서 야권 비례후보 선정 과정에서 파열음이 커질 전망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연합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더불어민주연합 윤영덕, 백승아 공동대표 등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민주당 김민석 상황실장은 이날 오후 총선 브리핑에서 “당 최고위는 시민사회가 추천하는 국민 후보 4인의 선정결과를 놓고 매우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며 “더불어민주연합이 각 당과 시민사회가 추천한 비례 후보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게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했다. 당 관계자에 따르면, 앞서 이날 오전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에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들의 ‘종북 논란’ 등에 대한 부정적 의견들이 제기됐다고 한다. 이 대표 등 다수 의원들도 총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지예 후보가 대표를 맡았던 겨례하나는 한미연합훈련 반대 시위를 벌여온 단체다.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 간부 출신이 이사장을 맡고 있다. 범민련은 대법원에서 이적 단체 판결을 받았었다. 비례 순번 17번에 배치되는 정영이 후보도 과거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의 통일선봉대 대장을 맡아 사드 배치 반대 시위를 주도했었다. 당 관계자는 “지도부 회의에서 후보들이 국민 눈높이에 안 맞는다는 우려가 있었다”며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례 후보 1번은 추가로 논의를 거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윤영덕 더불어민주연합 공동대표가 7일 경기도 양평군청 앞에 마련된 '서울·양평 고속도로 국정농단 진상규명 촉구' 농성장 앞에서 양평고속도로 특혜의혹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최재관 여주시·양평군 후보, 이재명 대표, 더불어민주연합 윤 공동대표, 백승아 공동대표. /뉴스1

민주당 몫 후보자 공개도 늦어지고 있다. 당초 민주당은 이날 민주당 몫의 비례대표 후보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최고위원회에서 돌연 보류했다. 이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 후보의 경력을 지적하며 “이재명 대표는 반미 정책에 동의하느냐. 민주당의 이번 총선 공약은 한미연합 훈련 반대와 주한미군 철수인가”라고 했다. 윤재옥 원내대표도 “기형적 선거제(준연동형 비례제)가 더불어민주연합을 통해 반미·종북 세력에 국회 문을 열어주는 ‘종북 횡재’가 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준연동형 비례제’는 지난 21대 총선에 이어 이번 총선에도 적용되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출 방식이다. ‘연동형 비례제’를 따르되 의석을 절반(50%)만 보장한다는 점에서 ‘준(準)’을 붙여 명명했다. 연동형은 ▲정당 득표율에 따라 각 당의 의석 수를 미리 나눠 정한 뒤 ▲전체 지역구 당선자 수가 여기에 못 미칠 때 모자란 의석 수의 50%를 비례대표로 채워주는 방식이다. 지역구 의석이 많은 거대 정당에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반면, 군소 정당 입장에선 원내 진입에 유리하다.

다만 준연동형 비례제는 47석 비례대표 중 30석에만 적용한다. 나머지 17석은 병립형으로 선출한다. 병립형은 지역구 선거에서 얻은 의석 수와 상관 없이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 의석을 나눠 갖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