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 시각) 마무리된 주요 7국(G7) 정상회의에선 국제적 ‘반중(反中) 연대’가 본격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엔 코로나19 바이러스 재조사와 대만해협, 신장위구르자치구 인권 침해, 홍콩에 고도의 자치권 부여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14일 한국은 초청국 자격으로 G7 정상회의에 참석했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여한 회의에서는 중국과 관련한 논의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현지 시각)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및 환경' 방안을 다룰 확대회의 3세션에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문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연합뉴스

최종문 외교부 2차관은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해 G7 정상회의 공동성명과 관련해 ‘미중 갈등에서 G7이 미국을 밀어주면서 한국의 입장이 더 난처해지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G7과 한국, 호주, 인도, 남아공 등 초청국과의 세 차례에 걸친 회의에서는 그런 논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G7 회원국이 아닌 한국은 이번 정상회의에 초청국으로 보건, 기후변화·환경, 열린사회와 경제 등 3개 확대회의에만 참여했다. 그러므로 중국 인권 등을 비판한 G7 공동성명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최 차관은 “미국은 우리나라 유일한 동맹국이고 한미동맹은 우리나라 외교안보정책의 근간”이라며 “그런데 동시에 중국은 우리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최대 교역 상대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이런 기조 하에서, 국제사회에서 중국에 관한 논의가 종종 있긴 한데 관련 논의가 있는 경우 일관성 있게 대응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G7 공동성명과 달리 한국 등 초청국도 이름을 올린 ‘열린사회’ 공동성명도 민주주의와 인권을 강조했다. 하지만 ‘중국’을 명시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