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베이비붐 세대(1964년~1974년생)가 은퇴하면 향후 11년동안 연간 경제성장률이 0.38%포인트(p) 하락할 수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은은 성장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해 정년연장과 계속 고용 등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연령 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에 따르면 올해부터 전체 인구의 약 18.6%(954만명)를 차지하는 2차 베이비붐 세대가 향후 11년에 걸쳐 법정 은퇴연령인 60세에 진입할 예정이다.

./한국은행 제공

한은은 2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1차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 705만명)가 은퇴 연령에 진입하는 과정에도 성장률이 연 0.33%p 하락했기 때문이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큰 만큼 성장률 하락 효과는 더 클 전망이다.

한은은 2034년까지 ▲60대 고용률이 여성 48.3%, 남성 68.8%로 유지되는 시나리오 ▲여성 57.5%, 남성 74.7%로 높아지는 시나리오 ▲여성 61.7%, 남성 78.9%로 높아지는 시나리오 등 3개를 가정, 베이비붐 세대 은퇴로 줄어드는 GDP 규모를 산출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현재 고용률을 단순 고정한 것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60대 고용률이 과거 10년간 증가한 속도대로 향후 11년간 확대된다고 가정한 것이다. 세 번째 시나리오는 재고용 법제화 등 강력한 정책 대응으로 우리나라의 고용률 증가 추세가 가파르게 나타날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먼저 60대 고용률이 유지되는 경우 올해부터 2034년까지 연간 경제성장률은 0.38%p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두 번째 시나리오와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경제성장률 하락 폭이 각각 0.14%p, 0.22%p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이를 두고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양호한 교육 수준과 정보통신(IT) 활용 능력 등 비교적 높은 인적자본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재교육에 참여하고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지속해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확보된다면 성장잠재력 추가 하락 정도가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