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경기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재화소비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민간 소비를 지탱했던 서비스업도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

3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5월 재화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지수(불변)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 감소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3.1% 감소한 뒤로 15년 만에 낙폭이 가장 크다.

지난 3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 생선가게 앞에 폐업 관련 안내가 쓰여있다. /연합뉴스

소매판매는 올해 들어서는 2월(0.8%) 반짝 증가했을 뿐 1월과 3∼5월 모두 내리막길이다. 엔데믹(endemic·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민간소비를 지탱해 온 서비스업도 최근 동력이 예전만 못하다.

서비스 소비를 뜻하는 서비스업 생산은 올해 1∼5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 늘었다. 증가세는 유지했지만, 증가 폭은 2020년(-2.2%) 이후 가장 작다.

대표적인 생활 업종으로 꼽히는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에서 특히 부진한 모습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작년 5∼12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매달 감소한 데 이어 올해도 1월(0.2%)을 뺀 2∼5월 모두 줄었다. 도소매업 역시 작년 4월 이후 단 2개월만 뺀 나머지 12개월간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소매판매가 급감하면서 다음 달 발표될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조정 폭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생산 회복세도 최근 ‘보합’에 근접하면서 GDP 성장세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세수 결손으로 빠듯해진 재정 상황은 올해 GDP를 더 옥죌 수 있다. 상반기 GDP를 끌어올렸던 재정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올해 세수 결손 규모를 10조원대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