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들의 이자순이익(수익-비용)이 34조원을 넘기면서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고금리 장기화로 채권시장이 위축되자 기업들이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영향이다. 다만 최근 대출금리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 향후 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의 이자순이익 규모는 34조2000억원으로 2010년 이후 금리 상승기(2010~2011년, 2017~2018년, 2021~2024년) 중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2021년 이후 총이익(이자이익+비이자이익) 내 이자이익 비중은 장기평균인 87.8%를 훌쩍 넘은 93%로 집계됐다.

금리국면·차주별 일반은행 대출금(왼쪽) 및 금리국면별 이자순이익(수익-비용) 변동 요인 분해(오른쪽). /한국은행 제공

은행들의 이자순이익이 증가한 것은 이번 금리 상승기(2021~2024년)에 기업대출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의 영업자금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고금리로 채권시장이 위축되면서 은행대출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통상 금리 상승기에는 기업자금 수요가 늘면서 기업대출(연평균 28조5000억원)이 가계대출(26조9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리 하락기에는 가계대출이 연평균 32조7000억원 증가하면서 기업대출(17조1000억원)보다 빠르게 늘어났다.

금리가 오르면서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것도 은행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국내은행이 취급하는 대출은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반면 예금은 요구불예금 등 이자비용이 적은 예금 비중이 높다. 이에 금리 상승기에는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금리 상승기에는 신규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2021년 2분기~2024년 1분기)가 38bp(1bp=0.01%포인트) 확대되면서 이자순이익이 크게 올랐다.

한은은 그러나 이번 금리 상승기에 이자수익 확대를 견인했던 기업대출이 향후 비용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 금리 국면을 살펴보면 상승기의 기업대출 증가 폭이 클수록 상승기가 지난 후 수익성이 악화됐다는 점에서다. 대출금리 하락 외에도 대출부실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가 함께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에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선반영되면서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가 더 빠르게 하락하는 것도 수익감소 요인이 될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예대금리차는 2021년 1분기 1.88%포인트(p)에서 올해 1분기 1.28%p로 낮아졌다. 이는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직전 최저치는 1998년 2분기 0.5%p였다.

한은은 “향후 취약부문에서 발생하는 대손 비용 및 예대금리차 축소 정도가 은행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은행들의 기업대출 취급 확대는 실물경제 지원을 위해 필요하나, 그 과정에서 산업별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