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이 작년 4분기말 대비 27조원 증가했다. 전 분기보다 증가 폭이 2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작년 말 결산 시기에 맞춰 대출금을 일시 상환했던 기업들이 운전자금 대출을 다시 늘린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말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잔액은 1916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말 대비 27조원 증가한 수치다.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증감 추이. /한국은행 제공

산업별 대출금 증가 폭은 전 분기(13조9000억원)의 두 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증가 폭은 작년 1분기(20조9000억원)에서 작년 3분기(32조3000억원)까지 확대되다가 작년 4분기에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그러나 1분기 만에 증가 전환됐다.

서정석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작년 말에는 기업들이 부채비율 관리를 위해 대출을 일시적으로 상환하면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면서 “그런데 연초에는 기업들의 운전자금 대출이 늘어나면서 증가 폭이 확대됐다”고 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의 대출금 증가 폭이 컸다. 제조업 대출금은 작년 4분기 6000억원 감소했다가 올해 1분기에 12조2000억원 증가했다. 분기별로는 2020년 2분기(16조1000억원) 이후 증가 폭이 가장 크다. 화학·의료용 제품(-1조1000억원→+3조2000억원)과 전자·컴퓨터·영상음향·통신(+4000억원→ +1조2000억원) 등이 증가를 견인했다.

서비스업은 증가 폭이 11조9000억원에서 11조원으로 축소됐다. 도·소매업(+1조5000억원 → +4조원) 등은 증가 폭이 확대됐으나, 부동산업(+5조6000억원 → +3조3000억원) 증가 폭이 2조원 넘게 축소된 영향이 컸다. 다만 직전 분기 2000억원 감소했던 정보통신업은 1조원 증가로 돌아섰다.

용도별로 보면 운전자금(+5000억원 → +14조7000억원)은 증가 폭이 확대됐으나, 시설자금(+13조3000억원 → +12조3000억원)은 증가 폭이 축소됐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16조9000억원 → +25조7000억원)은 증가 폭이 확대됐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3조1000억원 → +1조3000억원)도 증가로 전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