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가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막했다.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가 총회 환영사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DB

첨단산업 국가 표준화 전략을 논의하는 ‘2024 첨단산업 표준리더십 포럼 총회’가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개최됐다.

신기술의 기술·성능·규격 등을 통일하는 것을 일컫는 ‘표준’은 미국·중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경제 안보 확립의 수단으로 최근 부각되고 있다. 정부 역시 첨단 산업 분야에서 경쟁할 우리의 ‘국가 표준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이날 포럼에선 첨단산업 민간 전문가 1000여명이 머리를 맞대 도출한 표준화 수요에 맞춰, 국제 표준 개발이 필요한 우선 전략 과제들이 마련돼 추진 방안이 발표된다.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포럼 공동의장인 임채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지식경제부 차관)이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선비즈DB

포럼 공동의장인 임채민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지난해 9월 출범한 표준 포럼은 8개월 동안 12개 첨단산업군별로 나눠 표준화 전략 계획을 만들었고, 리더십 포럼을 통해 방향과 골격을 조율하는 과정을 거쳐서 준비했다”며 “오늘 발표하는 국가표준화 전략은 출발점에 섰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평가한다”고 했다.

임 의장은 “우리는 살아 움직이는 표준화 전략을 지향한다”며 “앞으로 많은 전문가들의 비판과 지적을 받아들여서 수정·보완해 나가면서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올해 처음 문을 여는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는 대한민국의 기술 경쟁력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준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라며 “미래 첨단산업에서도 기술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선 초격차 기술 역량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이를 공고히 하기 위한 K-표준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얼핏 들으면 딱딱해 보이는 ‘표준’이지만, 전원 플러그·디스플레이 장비·마이크·스피커 등 일상에서 표준을 만날 수 있다”며 “우리 일상과 가까운 표준과 표준 전략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알차게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4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조선비즈DB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기술개발 영역에 속하던 표준이 경제안보 확립의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정부는 첨단산업 분야 국제표준 개발 등 표준화 전략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의 기조연설은 현대모비스 대표이사를 지낸 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장이 맡는다. 또 오광해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장과 강명수 한국표준협회 회장은 민관이 공동으로 마련한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을 발표한다.

첨단산업 분야별 중점 표준화 계획을 다루는 2부 세션에서는 함상범 마이크로소프트(MS) 전무, 김덕기 세종대 교수, 최종찬 국가기술표준원 자율차 국가표준코디네이터가 강연한다.

올해 처음 열린 ‘첨단산업 표준 리더십 포럼 총회’는 미래 첨단산업의 국제 표준 전략을 공론화하기 위해 조선비즈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공동 주최한 행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