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대외경제자문회의'를 주재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의 대중(對中) 관세인상 등 주요국의 경제·통상 현안 관련 우리나라 경제 영향과 대응 방향을 점검했다.

기재부는 최 부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대외경제자문회의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대외경제자문회의는 세계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정책 수립에 참고하기 위해 올해 4월 도입한 비상설 회의체다.

이날 회의에는 최 부총리,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 민경설 대외경제국장과 조상현 국제통상무역연구원장, 이승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최 부총리는 최근 우리 경제가 7개월 연속 수출 흑자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180억달러 상당의 전략 품목에 대해 관세인상을 발표하는 등 세계 경제·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이에 대응해 과거 무역분쟁 사례와 미·중 간 교역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 경제 영향을 진단했다.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전개 양상에 대한 대비 태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국 내 우리 기업과 중국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 미국 등 시장에서 중국 기업과 경쟁하는 우리 기업 등 기업 유형별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측 동향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 부총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우리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해서 발휘할 수 있도록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겠다”며 “범정부 차원의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