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거주하는 사람 중 부동산 임대소득 상위 0.1%의 평균 임대소득이 13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19일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부동산 임대소득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자 가운데 부동산 임대소득을 신고한 서울 거주자는 35만9084명이었다. 이들이 신고한 부동산 임대소득은 총 8조6459억원으로 1인당 평균 임대소득은 2408만원이다.

9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이 중 상위 0.1%에 해당하는 359명의 소득은 평균 12억866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금액이다. 이어 제주(6억2136만원·16명), 경기(5억9483만원·362명), 대구(5억5146만원·49명) 등이 많았다.

상위 0.1%의 평균 임대소득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이었다. 8명이 2억7360만원을 벌었다. 1위 서울과는 4.7배 차이다. 다음으로 경남(2억8284만원·52명), 강원(2억8779만원·31명) 등의 순이었다.

전국 기준 상위 0.1%의 부동산 임대소득은 평균 8억1370만원이었다.

평균 소득으로 보면 서울(2408만원)이 가장 많았고 제주(1795만원), 경기(1701만원), 대구(1636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제외하면 16개 시도의 평균 소득은 2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평균 소득이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1076만원)이었다. 이어 전북(1109만원), 전남(1123만원), 경남(1177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기준 부동산 평균 임대소득은 1768만원으로 나타났다.

양경숙 의원은 “서울과 지방 간 인구와 경제 격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부동산 임대소득에서도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