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방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의 펀드 결성을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가 개인투자조합에 20% 이상 출자하면, 지자체를 포함한 법인의 출자 허용비율을 30%에서 49%까지 확대하고, 지방 우수 투자·보육 전문기업이 신용보증기금이나 기술보증기금 특별보증을 신청하면 우대할 방침이다.

지역 벤처·창업기업의 자금조달 기회도 확대한다. 지역 벤처투자 생태계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모태펀드 지역계정 출자규모(2024년 1000억원)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6년까지 지역 전용 벤처펀드를 누적 1조원 이상 신규 공급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13일 오전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창업 생태계는 그간 양적·질적 측면에서 크게 성장했지만, 지방 창업생태계는 수도권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역에서는 창업이 늘어나도, 이들 벤처·창업기업의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역량있는 지원 서비스가 부족한 게 불균형 성장의 핵심 요인”이라며 “지방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지방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의 실적쌓기를 지원하기 위해 모태펀드 위탁 운용사 선정 시, 지방 전문기업에 대한 평가 가점을 확대한다. 지자체가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펀드를 조성할 때, 지역 전문기업에 우선 위탁 운용토록 하고,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에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 관련 항목도 신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창업기업이 투자·보육 업종 병행을 희망하는 경우 전문 교육과 모의 투자·보육서비스 기회를 제공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투자심사역 등 전문인력이 지방에 정주할 수 있도록, 도시재생 씨앗융자 등을 통해 민간 업무복합시설(업무·창업시설과 주택이 복합된 시설) 건설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