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본사 전경. /한국도로공사 제공

지난해 말 발생한 ‘레고랜드 사태’ 여파로 한국도로공사 자금조달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도로공사는 단기차입금을 늘리면서 36조원에 육박하는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이 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로공사의 총부채는 35조8000억원이다.

2018년 28조1000억원 수준이던 부채는 매년 꾸준히 늘어 2020년 31조원을 돌파한 뒤 지난해 36조원에 달하는 수준으로 늘었다. 자기자본 대비 부채 비율은 2018년 80.76%에서 지난해 84.35%로 상승했다.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시장 경색으로 기존 3%대였던 공사채 금리가 5% 후반까지 치솟자 도로공사 자금 조달에도 어려움이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 10월 13일 1000억원 규모의 30년 만기 장기채 입찰에서 유찰이 되면서 단기 채권과 기업어음(CP) 발행으로 내몰리기도 했다. 올해도 지난 3월과 9월 각각 1000억원 규모의 3년물이 유찰됐다.

도로공사는 지난해 10월 18일 5.1%대의 고금리로 5년 만기의 CP 1000억원을 발행했다. 이어 올해 3월과 5월에는 5년 만기 CP를 각각 1500억원씩 발행했다. 이에 따라 2020년 1000억원 수준이었던 도로공사의 만기 5년 이하 단기 차입금은 지난해 585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이자 비용도 2020년 7736억원에서 지난해 8076억원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에만 4600억원의 이자를 지불해야 했다. 연간으로는 들어가는 이자 비용만 9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민기 위원장은 “도로공사의 부채가 급증하는 가운데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경색이 고금리 단기 차입금 이용을 부추겼다”라며 “과도한 이자 비용으로 재무 건전성이 더 이상 악화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