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역세권·저층 주거지 개발을 위해 3년 한시로 도입한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의 기간이 내년 만료되는 가운데, 정부가 이를 3년 더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8일 국토교통부·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9월로 종료되는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의 사업 기한을 연장하는 내용의 공공주택특별법 개정안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이다.

서울의 한 빌라촌.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뉴스1

이 사업은 LH 등 공공기관 주도로 역세권·준공업지역·저층 주거지 등 도심 내 노후 지역을 고밀 개발해, 신축 주택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문재인 정부가 2021년 발표한 ‘2·4 공급대책’에서 도심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도입됐다. 조합 주도의 일반 정비사업과 달리 LH 등 공공이 주도해 직접 주민의 토지를 수용하고, 그에 상응하는 가치를 아파트 등 신규 건축물 현물로 보상하는 대신 용적률 상향,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배제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사업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국토부는 2021년 시행 후 ▲서울 은평 증산4구역 ▲연신내역 인근 ▲도봉구 방학역 인근 ▲영등포구 신길2구역 등 6개 선도지구부터 지난해 말 9차 후보지까지 총 57곳(8만3203가구)을 도심공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로 지정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지구 지정이 완료된 곳은 선도지구 6곳을 합쳐 9곳에 불과하고, 서울 후보지 21곳은 국토부와 서울시의 사전검토위원회 문턱도 넘지 못하는 등 사업 추진이 더딘 상황이다.

현재 선정된 후보지들이 법 시행 종료 후에도 사업을 존속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 검토 후 지구 지정 제안과 주민의견 청취까지 마쳐야 하는데, 현재 속도로는 법이 규정한 시한인 내년 9월 내에 끝내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 사업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추가 연장 기간은 현 정부 임기인 2027년까지 3년이 유력하나, 논의 과정에서 더 늘리거나 기한을 없앨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이 사업이 토지 수용 방식이라는 한계로 인해 당초 기대한 도심 역세권 고밀 개발이나 준공업지역 주거지 전환 수요는 많지 않지만, 그간 사업성이 없어 재개발 추진이 어렵던 저층 주거지 개발에는 유효한 구조로 평가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저층 주거지 개발에 대한 선호가 높고, 기존 후보지 내에서 동의율 확보(토지 등 소유자의 3분의2)가 더뎌 법 시한 내에 지구지정을 못하는 곳도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기간 연장을 추진하려는 것”이라며 “다만 추가 연장 시한을 최종 3년으로 할지 여부는 추가 검토 후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토부·서울시는 올해 하반기에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10차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8·16 공급대책’(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통해 기존 공공 주도의 도심복합사업을 민간 영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신탁사나 리츠 등도 역세권·준공업지역 고밀 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심복합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