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특허 등록한 강판 도금 관련 첨단기술을 도용한 제품을 수출하려던 일당이 관세청에 붙잡혔다.

노시교 인천세관 조사국장이 5월 31일 서울 논현동 서울본부세관에서 첨단기술 해외 유출 시도 사건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 관세청

관세청은 포스코가 특허 등록한 강판 도금량 제어장비 기술을 도용해 에어나이프를 제작한 뒤 이를 해외에 수출하려던 업체 대표 A씨 등 5명을 특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관세청이 기술유출 범죄 전담 수사팀을 설치한 이래 처음으로 적발한 첨단기술 해외 유출 사례다.

에어나이프는 용융 알루미늄이나 아연을 도금한 강판에 가스를 분사해 도금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장비로, 도금 강판의 품질을 결정한다. 포스코는 50억원 넘는 돈을 투입해 이 장비를 국산화했다. 포스코 특허는 국가첨단기술로도 지정된 상태다.

포스코 협력업체에서 근무하던 A씨는 퇴사 후 새 회사를 설립하고, 에어나이프 도면 제작자로 함께 일하던 B씨를 영입해 포스코 기술을 도용한 시가 35억원 상당의 에어나이프 4대를 제작해 2020~2021년 수출했다. 이후 B씨가 회사를 나가자 A씨는 다른 에어나이프 개발자인 C씨를 영입해 시가 23억원 상당의 에어나이프 3대를 다시 만들어 수출하려다가 인천세관 기술유출 범죄 수사팀에 적발됐다.

인천세관 수사팀은 국가정보원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입수했다고 전했다. 수사팀은 선적 전 에어나이프를 압수하고 공장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여 관련 증거를 확보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물품명을 코팅장비로 위장해 신고하고 회사 내 자료저장장치를 폐기해 증거인멸을 시도하는 등 용의주도한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관세청은 이번에 판매될 뻔한 에어나이프 3대가 A씨 계획대로 수출됐다면 해외 철강사는 최대 660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얻었을 것이라고 했다. 윤태식 관세청장은 “국가 핵심기술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관세청 수사 역량을 집중하고, 국정원·특허청 등 관계기관과 공조를 강화해 기술 유출 범죄에 강력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