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이처럼 ‘탄소 흡수’를 통한 탄소 네거티브(negative) 전략을 밝혔다. 정부 부처들 중 해수부만이 활용할 수 있는 바다라는 자원을 이용한 탄소 흡수가 주요 전략 중 하나로 부각됐다.

해수부는 염생식물, 잘피 등 연안에서 서식하는 식물과 갯벌 등 해양의 탄소 흡수원인 ‘블루카본’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린피스는 “해양 생태계의 자연적인 작용으로 인해 탄소가 바다로 흡수되고 심해로 가라앉으면서 기후위기 완화를 돕는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며 이 같은 작용을 ‘블루카본’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바다는 지구의 탄소 순환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어 이를 활용해 탄소 배출량을 줄여보자는 것이다.

해수부는 블루카본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를 136만2000톤 흡수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블루카본은 조성 비용이 적게 들고 탄소 흡수 속도는 열대우림 등에 비해 50배 가량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블루카본으로는 탄소를 흡수하고, 현재 탄소 배출이 많은 분야에서는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해수부의 전략이다. 이를 통해 해양수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2018년 406만2000톤에서 2050년 42만2000톤까지 줄이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이는 탄소배출량을 현상 유지를 넘어 730만톤을 현재보다 감축한다는 것이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연합뉴스

◇우리나라 갯벌, 국제 탄소흡수원 인정 위해 연구 박차

11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블루카본은 지난 2009년 유엔(UN) 보고서 ‘블루카본-건강한 해양의 탄소 포집 역할’에서 처음 등장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9년 발표한 ‘해양 및 빙권 특별보고서’에서 블루카본을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공식 인정했다.

지난해 11월, 문 장관은 맹그로브 숲을 주요 탄소 흡수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만나 양국 간 해양수산 협력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맹그로브 숲은 연안의 염습지나 기수에서 자라는 나무, 관목 혹은 열대 해안의 식물 군락인데, 세계 전체 맹그로브 면적의 20%가 인도네시아에 위치해 있다.

이 자리에서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는 블루카본이었다. 해수부는 당시 “비식생 갯벌을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기 위해 연구를 진행해온 한국과의 협력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한국의 갯벌은 국제 탄소흡수원으로 인증받지 못했다. 현재 블루카본은 갈대와 칠면초 등 염습지, 해초대 등 잘피림, 맹그로브 숲만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 갯벌은 포함돼 있지 않다.

해수부는 지난해 12월, 국내 갯벌의 ‘국제 탄소흡수원 인증’을 위해 내년에 탄소흡수량을 계량화하고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계획을 밝혔다. 국내 갯벌은 식물이 살지 않는 갯벌(비식생·2447㎢)과 갈대 등 염생식물이 사는 갯벌(염습지·35㎢)로 구분된다. 그러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식생 갯벌이 탄소 흡수원으로 지정돼 있지 않다. 우리나라 갯벌은 세계 5대 갯벌로 뛰어난 탄소 흡수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가 충분치 않다는 이유에서다.

해수부가 지원한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개발연구(2017-2021)’에 따르면 우리나라 갯벌은 연간 26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자동차 11만대가 연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맞먹는 규모다.

◇해수부 “탄소배출량, 406만→42만톤으로 감축 목표”

발생한 탄소를 흡수하는 것 뿐 아니라, 발생량 자체를 줄이는 것도 해수부의 화두다. 해수부는 해양수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2018년 406만2000톤에서 2050년 42만2000톤까지 줄이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해양수산업 중 해운분야에서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 선박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만7000톤으로 감소시키겠다는 계획이다. 2018년 해운 분야의 탄소 배출량 규모인 101만9000톤의 3분의 1 수준이다.

해수부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LNG, 하이브리드 등 저탄소 선박 기술을 고도화한다. 수소, 암모니아 등 무탄소 선박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친환경 관공선과 친환경선박 대체건조 지원을 마중물로 민간 선사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유도한다.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 및 감척,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 확대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1만5000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2018년 규모는 304만2000톤이다. 이를 위해 노후 어선을 신조선으로 대체 건조하고, 기관을 새로 교체하는 등 연료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감척 대상을 선정할 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어선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등 어선어업분야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도모한다.

액화천연가스(LNG), 전기 등을 연료로 하는 친환경어선 기술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히트펌프, 인버터와 같은 에너지 고효율 장비를 양식장과 수산가공시설에 보급하는 등 수산업 전반을 친환경 체제로 전환한다. 양식장과 국가어항 등의 유휴부지와 유휴수역에 태양광, 소수력, 파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도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