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작업자가 웨이퍼 원판 위 회로를 만드는 데 쓰이는 기판인 포토마스크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수출액이 두 자릿수대 증가세 유지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반등 영향이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월 ICT 수출액은 165억3000만달러(약 21조7684억원)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29.1% 늘어난 수치다. 지난 1월 25.2%에 이어 2개월 연속 20% 넘는 증가율을 보였다.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으로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체 ICT 수출을 견인했다. 2월 반도체 수출은 99억6000만달러(약 13조1183억원)다. 1년 전과 비교해 62.9% 급증했다.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다.

반도체 중 메모리 반도체는 고정 거래가격 상승,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로 수출액은 60억8000만달러(약 8조8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08.1%다. 같은 기간 시스템 반도체 수출은 34억20000만달러(약 4조5068억원)로 27.2% 늘었다.

반도체와 함께 디스플레이(15억5000만달러·18.7%), 컴퓨터·주변기기(7억5000만달러·14.0%) 수출도 크게 증가했다. 휴대전화의 경우 삼성전자의 갤럭시S24 신제품 출시 효과로 완제품 수출(2억7000만달러)은 55.1% 늘었지만 부분품 수출(5억4000만달러)은 36.9% 줄었다. 애플의 수요 부진으로 휴대폰 관련 부품 수출이 줄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홍콩을 포함한 중국에 대한 수출이 43.8% 늘어난 73억7000만달러를 보였다. 베트남과(26억2000만달러·24.3%), 미국(18억7000만달러·13.5%) 수출도 늘었다. 반면 유럽연합(9억2000만달러), 일본(3억달러)으로의 수출은 줄었다.

2월 ICT 수입은 102억9000만달러(약 13조5530억)다. 전년 동기 대비 6.7% 줄었다. 2월 ICT 무역수지는 62억5000만달러(약 8조2319억) 흑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