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개발 박막형 커플드 파워인덕터./삼성전기 제공

삼성전기가 두 개의 파워인덕터를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커플드(Coupled) 파워인덕터를 양산한다고 10일 밝혔다. 하이엔드급 제품 라인업 확대로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제2의 MLCC’라 불리는 파워인덕터는 전원 회로에 적용돼 배터리로부터 오는 전력(파워)을 반도체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핵심 전자부품이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커플드 파워인덕터는 2016크기(가로 2.0mm, 세로 1.6mm)와 2218크기(가로 2.2mm, 세로 1.8mm)의 낮은 저항값(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특성)을 가진 제품 2종이다.

이번 제품은 PC의 두뇌 역할을 하는 CPU(중앙처리장치) 주변에 탑재돼 안정적인 전류를 CPU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CPU가 고성능화될수록 사용하는 전류량이 많아 전력손실이 적은 파워인덕터가 요구된다.

파워인덕터는 내부에 감겨져 있는 코일의 저항값에 의해 전력소모가 발생한다. 저항값이 높을수록 소모되는 전력도 많다. 기존에는 두 개의 파워인덕터를 병렬로 연결해 저항값을 낮췄지만, 부품 수 증가와 회로설계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삼성전기는 두 개의 코일을 결합시킨 커플드 구조를 적용해 하나의 칩으로 구현했다. 삼성전기의 커플드 파워인덕터는 기판 위에 얇은 코일형상을 전해도금 방식(표면에 얇은 막을 입히는 방식)으로 형성한 박막형 제품으로, 자성체(자석 성질을 지닌 물체)에 코일을 직접 감아 만드는 경쟁 제품보다 절연(전자기적 간섭이 적은 특성), 저항값 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란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파워인덕터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약 36억5000만달러(4조8500억원)로 연평균 약 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워인덕터 시장은 전자기기의 고성능·다기능화에 따른 수요 증가와 자율주행 및 전기자동차 같은 자동차 산업의 확장으로 고성능의 제품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은 “반도체의 고사양과 고성능화 요구가 지속되면서 파워인덕터가 반도체 성능 차별화의 핵심 부품이 되고 있다”며 “세계 최고의 소재와 공법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해 파워인덕터 시장을 선도하는 초일류 테크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