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네이버 '1784', 카카오 '아지트'. /각 사 제공

올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포털뉴스 개혁 이슈가 집중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네이버와 카카오가 초조해졌다. 이슈가 커질수록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국감에 증인으로 설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두 기업 입장에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총수가 국감장에 불려가는 것을 피하고 싶은 상황이다.

6일 국회와 업계 등에 따르면 국회 과방위(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다음달 정기 국정감사에서 이해진 GIO와 김범수 센터장을 증인으로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과방위 소속 각 의원실은 다음달 10일부터 18일간 이어지는 정기 국감과 관련해 현안 점검에 착수했다. 이를 토대로 국감 증인을 신청하면, 해당 위원회 위원장이 여러 이슈와 상황을 종합해 증인 출석일 7일 이전까지 확정한다.

올해 과방위의 주요 이슈 중 하나는 네이버, 카카오 등 포털의 가짜뉴스 책임이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최근 김만배-신학림 ‘거짓 인터뷰 대선 공작’ 사건으로 정치권이 시끄러운 상황이다.

앞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은 6기 방통위 주요 과제로 포털뉴스 개혁을 꼽았다. 과방위 여당 간사인 박성중 의원은 지난 6월 네이버, 카카오 등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원도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적용 대상에 포함시키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해진 네이버 GIO과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했다./뉴스1

과방위와 달리 국회 정무위원회가 이 GIO와 김 센터장을 증인으로 채택할지는 미지수다. 정무위는 지난해 골목상권 침해 논란과 관련해 이 GIO를 증인으로 채택하려다 철회한 바 있다. 김 센터장은 지난 2021년 정무위 국감에 참석한 바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총수의 국감 출석을 최대한 막겠다는 분위기다. 국회가 막무가내식으로 기업인을 증인으로 소환해 망신 주기에 급급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포털업계 한 관계자는 “여러 이슈 때문에 주요 경영진의 국감 참석은 피할 수 없겠지만 창업자가 작년에 이어 또 다시 출석하는 것은 우려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