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공장(happiness factory)의 작은 방 하나를 바깥세상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는 식사를 넣는 구멍뿐이다.”

영국 BBC가 30일(현지 시각) 사회적 관계를 차단한 채 방에서만 살아가는 은둔 청년을 자식으로 둔 한국의 부모들이 자진해 세상과 단절된 경험을 하며 이른바 ‘히키코모리’ 자녀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고립·은둔 청년. / 뉴스1

BBC는 “은둔형 청년은 1990년대 일본에서 청소년과 청년들의 심각한 사회적 위축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라며 보건복지부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19~34세 청년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 이상이 스스로를 격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BBC는 “한국 전체 인구 중 54만 명이 고립, 은둔 상태에 있다”며 그 이유로는 취업난(24.1%), 대인관계 문제(23.5%), 가족 문제(12.4%), 건강 문제(12.4%) 등을 꼽았다.

은둔형 자녀를 둔 부모 중 일부는 청년재단, 푸른 고래 리커버리센터, 행복공장 등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지난 4월부터 13주간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강원도 홍천군의 행복공장에서 3일간 독방 생활을 하는 과정도 포함돼 있다. 고립을 직접 경험해 자녀와 더 잘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3년째 고립된 생활을 하는 아들을 둔 50세 여성은 행복공장에서 다른 청소년들이 쓴 글을 읽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침묵으로 자신을 보호하고 있구나 하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의 아들은 대학에 진학해, 한 학기 동안 학교에 다닌 뒤, 어느 날 갑자기 등교를 포기했다. 대인 관계의 어려움, 명문대에 진학하지 못했다는 실망감이 영향을 미쳤을 거라는 추측만 할 뿐, 아직도 이 여성은 아들의 문제를 모른다.

정고운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인생의 중요한 이정표가 정해진 시기에 목적지에 도착해야 한다는 한국 사회의 기대가 경기 침체, 고용률이 낮은 상황과 맞물리면서 젊은이들의 불안이 증폭됐다”고 분석했다.

BBC는 “한국에서 자녀의 성취를 부모의 성공으로 보는 인식이 (고립·은둔 자녀를 둔) 가족 전체를 고립의 수렁으로 끌어당기는 원인”이라며 “많은 부모는 자녀가 겪는 어려움을 양육의 실패로 여겨 죄책감을 느낀다”고 분석했다. 이어 “청년들의 고립·은둔이 가족 내 문제라는 시각 때문에 부모까지 주변 사람들로부터 단절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이어 BBC는 “근면함을 강조하는 한국 문화는 21세기 후반에 한국이 세계 주요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면서 급속한 경제 성장을 가능하게 했다”면서도 “세계 불평등 지수에 따르면 한국의 부의 불평등은 지난 30년 동안 심화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