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외무부가 지난 19일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북·러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평양 노동신문=뉴스1

25일(현지 시각)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러 조약은 한반도와 역내 전체 문제를 군사적 수단으로 해결하기를 바라거나 그럴 계획이 있는 국가들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라면서 “한국이나 제3국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어려운 동북아 지역 상황을 약화하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루덴코 차관은 “우리는 한국이 새 협의를 이해심을 갖고 수용하길 기대한다”며 “그리고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해 건전한 접근이 힘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역내 긴장 주요 원인으로는) 무엇보다 한반도 긴장을 이용해 이 지역(동북아)에서 지속적으로 군사력을 증강하고 있는 (미국의 정책)”이라며 “이 모든 정책의 주요 목표는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를 봉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루덴코 차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러를 요청한 것과 관련해서는 “모든 필요한 조건이 맞고, 이 단계에서 서명돼야 할 서류들의 특정 기반이 진전되는 즉시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이 모스크바 답방에 나선다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네 번째 만남이 이뤄지게 된다. 두 정상이 처음 만났던 것은 지난 2019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였다. 이후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 기지에서 두 번째로 만났다. 당시 두 번째 정상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방북 초청을 수락하면서 세 번째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방북 기간 북·러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김 위원장의 이번 방북 초청에 감사하다며 “다음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기를 바란다”고 초청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