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이 폭염으로 전력난을 겪는 가운데 러시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현지에 원자력발전소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2016년 원전 도입을 중단한 상태다.

베트남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20일 하노이 주석궁에서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과 나란히 손을 흔들고 있다. /AFP 연합뉴스

22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은 베트남 국영 전력기업 EVN을 인용해 최근 베트남 발전량과 전력 소비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EVN은 “북부·중부 지방의 극심한 무더위로 인해 6월 중순 전력 소비량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기준 베트남의 전력 소비량은 10억3000만킬로와트시(kWh)로 종전 기록인 지난 5월 29일의 10억900만kWh를 웃돌았다. 전국 발전량도 19일 기준 49.53기가와트(GW)로 종전 최대치인 4월 27일의 47.67GW를 넘어섰다.

베트남 내 전력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는 석탄 화력 발전량을 늘리고, 기업들에 전력 소비 감축 등을 주문하는 상황이다. 베트남은 지난해 5~6월에도 북부를 중심으로 정전·제한 송전 등 전력 부족 사태를 겪은 바 있다.

러시아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을 계기로 원전 수출을 추진하는 상황이다. 이번 방문 때 푸틴 대통령을 수행한 알렉세이 리카체프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 최고경영자(CEO)는 베트남 정부가 과거 중단한 원전 건설을 다시 검토하려는 의사를 드러냈다고 밝혔다.

리카체프 CEO는 “베트남의 현 지도부는 원전 산업을 복구하려는 바람을 나타냈다”며 “결정이 내려지면 (원전 건설) 협상도 자동 재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사톰은 대형 중·소형 원전과 육상·해상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포함한 에너지 대응 방안을 베트남 측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은 지난 2010년대 전력난 해소를 위해 2030년까지 총 14기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러시아, 일본을 원전 협력 국가로 선택했다. 하지만 지난 2016년 쩐 다이 꽝 국가주석·응우옌 쑤언 푹 총리 등 새로 들어선 국가 지도부는 비용, 안전성 논란을 들어 원전 도입을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