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뉴스1) 이준성 기자 = 2024 파리 올림픽 개막을 한달 여 앞둔 1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센강에서 선수 퍼레이드를 위한 선박 기술 테스트와 함께 개막 리허설이 벌어지고 있다. 2024.6.17/뉴스1

다음 달 26일(현지 시각) 개막하는 파리올림픽이 역대 최악의 폭염 속에서 치러질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친환경 올림픽을 구현하기 위해 선수촌에 에어컨이 없는 점도 우려를 더하고 있다.

18일 미국 CBS 방송은 “지난 2020년 도쿄올림픽이 역사상 가장 더운 올림픽이었지만 파리올림픽 폭염 위험에 관한 새 보고서는 올해가 훨씬 더 더울 수 있다고 경고한다”고 전했다.

37쪽 분량의 이 보고서에 따르면 파리에서 1924년 마지막으로 하계올림픽이 열린 이후 매년 이 시기 파리의 평균 기온이 약 섭씨 3.1도 상승했고, 폭염의 빈도와 강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도시 지역이 시골보다 기온이 더 높은 도심 열섬 현상도 파리의 무더위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번 올림픽 개막 5년 전인 2019년 7월 25일에는 “파리의 기온이 역대 최고인 화씨 108.7도(섭씨 42.6도)를 기록했다”면서 “프랑스에서 지난여름에만 약 5000명이 무더위로 숨졌다”고 지적했다.

한여름에 열리는 파리올림픽을 두고 전문가, 운동선수들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미국의 기후문제 연구기관 ‘클라이미트 센트럴’의 케이틀린 트루도 선임연구원은 “올림픽들의 개최 시기에 놀랄 뿐”이라면서 “우리는 최근 역사상 바로 이 시기, 바로 이 장소(올림픽)에서 이 같은 치명적인 폭염을 여러 번 봐왔다”고 CBS에 말했다.

4년 전 도쿄올림픽에서는 선수 100명당 1명꼴로 온열 관련 질환에 시달리기도 했다. 더위를 먹은 선수들이 결승선에서 실신하는 일도 있었다. 당시 러시아 테니스 선수 다닐 메드베데프는 경기 중 심판에게 다가가 “경기는 끝낼 수 있지만, 죽을지도 모르겠다”며 “만일 내가 죽으면 당신이 책임질 거냐”고 따진 일도 있었다.

파리올림픽 조직위원회 측은 마라톤과 철인 3종 경기를 이른 아침에 열기로 하는 등 폭염에 대비해 야외 경기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수촌에 에어컨이 없는 점도 우려 요소다. 파리올림픽 조직위는 선수촌에 에어컨을 설치하는 대신 물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할 경우 저공해 이동식 냉방 장치를 빌려주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미국, 영국, 호주, 덴마크, 이탈리아는 자체 에어컨을 챙길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7월 하순 파리의 기온은 종종 섭씨 40도를 넘나들며, 열대야도 1주일 정도 지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