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4월 베이징을 찾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에게 “중국이 대만을 공격하도록 미국이 유도하려 한다”고 말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FT는 “시 주석은 ‘미국이 중국을 속여 대만을 침공하도록 하고 있지만, 미끼를 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며 “미국과의 분쟁이 발발할 경우 중국이 이뤄낸 많은 것들이 파괴될 것이고 2049년까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달성하려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는 데도 해가 될 것이라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시 주석은 중국 정부 당국자에게 비슷한 경고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EPA 연합뉴스

시 주석이 외국 정상을 상대로 대만에 대한 입장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FT는 “이번 발언은 미·중 관계의 최대 난제인 대만에 대한 시 주석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한다”고 했다.

시 주석의 생각은 지금까지 일부 중국 학자와 퇴역 군 장교들이 주장한 바와 일치한다. 이들은 지금까지 미국이 대만에 무기를 제공하고, 중국이 대만과 군사적으로 충돌하게 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추아텐카이 전 워싱턴 주재 중국대사는 지난 1월 아시아소사이어티에서 미국을 언급하며 “누군가가 우리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함정에 중국이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국 전문가 주드 블랑셰트는 “시 주석이 정말로 미국이 대만을 놓고 중국과 분쟁을 벌이는 걸 적극적으로 추구한다고 믿는다면, (올바른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정보의 진공 상태에 놓였거나 하급자들로부터 잘못된 조언을 받고 있다는 우려가 사실인 셈”이라고 비판했다. 독일 마셜 펀드의 중국 전문가인 보니 글레이저는 FT에 “이번 발언이 대만 문제와 관련해 유럽을 미국으로부터 떼어내려는 시도일 수도 있지만, 시 주석이 정말 이 같은 이론을 믿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 않지만, 일방적으로 이뤄지는 현상 변화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유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