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에 도착했다. 리창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지난해 3월 총리 선출 이후 처음이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뉴스1

중국 외교부는 리 총리가 이날 오전 전세기를 타고 베이징에서 출발해 정오쯤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리 총리는 오는 27일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이 리 총리와 회담하는 것은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렸던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중 회담을 한 지 8개월 만이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리 총리는 이날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도 별도 회담을 열 예정이다. 3국 정상은 27일에는 정상회의를 한 뒤 비즈니스 서밋에 함께 참석해 각각 연설하고 경제인들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에서 개최된 제8차 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한·일 및 한·미·일 협력과 대조적으로 한·일과 중국의 관계는 미·중 경쟁 격화 속에 ‘최저점’에 이르렀다”면서 “정치적 신뢰의 깊은 상실은 한·일이 중국 군사력 증강에 대한 우려를 키우면서 미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한 것에 기인한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SCMP는 “중국 경제로부터 한국이 탈피하는 것과 일본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에 대한 중국의 분노 등 문제가 각각의 양자 관계에 더 짙은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즈화 상하이교통대 일본연구소 교수는 “중국은 이번 정상회의에 큰 기대를 하지 않을 수 있다”며 “중국은 중국 나름의 요구가 있지만,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실질적인 결론이나 중요한 조치가 도출될 가능성을 크게 기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