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황제’로 불리는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이슈인 인공지능(AI)이 과장된 것이 아니라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26일(현지 시각) 다이먼 CEO는 미국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AI는 단순히 지나쳐가는 유행이 아니며 AI 챗봇 챗GPT와 같은 거대 언어모델(LLM)보다 더 큰 의미를 지닌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 상황을 2000년대 초 닷컴버블 당시와 비교했다. 다이먼 CEO는 “처음 인터넷 버블이 일어났을 때 그것은 과장이었으나 이것(AI)은 과장이 아닌 현실”이라며 “사람들이 이를 사용하는 시점은 서로 다르지만 향후 엄청난 양의 작업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먼 CEO는 AI가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사이버 보안과 제약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AI는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암 치료제를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이먼 CEO는 JP모건 내부적으로도 AI 기술 활용 능력을 보유하기 위한 준비를 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지난해 최고 데이터·분석책임자라는 새 직책을 신설해 부분적으로 AI를 다루고 있다”면서 “사내에 테크(기술)기업들이 출시한 LLM을 연구하는 직원이 200명이나 된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온라인 서비스 기업 AOL의 전 CEO 팀 앤더슨도 향후 3개월 내 거의 모든 기업의 CEO가 AI에 관심을 두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날 앤더슨 전 CEO는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기업이 이 분야에 투자할 것”이라며 “어제 런던에서 온 저명한 CEO 등을 만났는데 모두 이를 투자 우선순위로 꼽았다”라며 “(AI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관심을 두고 있으며, 또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뉴욕의 그리스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다이먼은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주식 중개인으로 일한 가정환경 덕에 일찍부터 금융에 눈을 떴다. 미국 보스턴에 소재한 터프츠대에 진학해 심리학과 경제학을 전공했고 하버드대 경영학석사(MBA) 과정을 마쳤다.

이후 살로먼스미스바니와 뱅크원의 CEO와 씨티그룹 사장을 거쳐 2005년 말 JP모건체이스 CEO에 취임하면서 ‘월가의 황제’로 군림해 왔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회사를 자산·시가총액 기준 미국 최대 은행으로 키워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