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출산율 저하를 막기 위해 산후 휴가를 6개월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현재 프랑스에서는 여성은 둘째 자녀까지 산전 6주와 산후 10주를 합쳐 총 16주의 출산휴가를 쓸 수 있는데, 이중 산후 휴가를 부부 모두 6개월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프랑스 출산율이 연 7% 감소하자, 특단의 대책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6일(현지 시각) 엘리제궁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6일(현지 시각) 마크롱 대통령은 생중계로 이같은 내용의 ‘저출산대책’을 발표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실효가 적은 육아휴직 대신 출산 후 6개월 동안 부모가 출산휴가로 아이와 함께 지내고 이 기간 지원금도 늘리는 새로운 출산 휴가를 도입하겠다”라고 말했다.

프랑스의 육아 휴직은 최대 3년이다. 출산 휴가와는 별도로 1년간 육아 휴직을 쓸 수 있으며 최대 3년의 육아 휴직을 쓸 수 있다. 프랑스 일간 르몽드에 따르면 육아휴직 기간 낮은 보조금 탓에 여성의 14%, 남성의 1%만 육아휴직 제도를 이용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여성이 육아휴직 기간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월 지원금(428.7유로·약 60만원)도 적어 (휴직자를) 불안케 한다”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프랑스의 출산율이 전년 대비 7%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자, 특단의 조치를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프랑스 통계청(INSEE)이 발표한 2023년도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프랑스에서 태어난 아기는 전체 67만8000명으로, 2022년 72만6000명보다 6.6% 줄었다. 합계 출산율은 2022년 1.79명에서 2023년 1.68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로이터통신은 “프랑스의 지난해 출생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마크롱 대통령은 “최근 몇 년 동안 남성과 여성 모두 불임이 급격히 증가해 많은 커플이 고통받고 있다”며 대대적인 불임 퇴치 계획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