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년(甲辰年) 첫날 일본에서 강진이 발생했다. 강원 일부 해안의 해수면 높이가 지진해일로 높아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10분쯤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 북쪽 90㎞ 해역에서 규모 7.4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규모를 일본 기상청은 7.6, 미국 지질조사국은 7.5로 추정했다.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대지진(9.0)보다는 약하지만, 1995년 1월 17일의 한신대지진(7.3)보다는 큰 규모다.

기상청 제공

이번 지진으로 이시카와현에서는 최대 진도 7의 흔들림이 감지됐다. 진도 7은 2018년 9월 홋카이도에서 발생한 지진 이후 처음이라고 NHK는 보도했다.

일본 기상청의 지진 등급인 진도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해당 지역에 있는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 물체 등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상대적 개념이다. 진도는 사람이 흔들림을 느끼지 못하고 지진계에만 기록되는 0부터 서 있기조차 힘든 7까지 총 10단계로 나뉜다.

일본 기상청은 이시카와현을 비롯해 야마가타, 니가타, 도야마, 후쿠이, 효고현 등 동해를 접한 일본 북부 연안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NHK에 따르면 이시카와현에는 5m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피해자 구조 등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지시했다. 일본 정부는 관저 위기관리 센터에 대책실을 설치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현시점에서 원전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다.

1월 1일 오후 일본 도야마현 북쪽 해역에서 발생한 강진의 영향으로 동해안 해수면 상승 위험이 커졌다. 이날 해경이 강원도 강릉시 강릉항 방파제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 / 연합뉴스

기상청은 이번 강진으로 동해안 일부에 지진해일이 도달해 해수면이 높아질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지진해일 도달 예상 시점은 강릉 오후 6시 29분, 양양 오후 6시 32분, 고성 오후 6시 48분, 고성 오후 6시 48분, 경북 포항 오후 7시 17분이다. 해일의 최대 높이는 0.5m 미만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해경과 소방 당국에서 접수한 지진해일 관련한 피해 신고는 없다.

기상청은 “강원 해안 일부는 지진해일로 해수면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며 “지진해일 높이는 조석을 포함하지 않아 최초 도달 이후 점차 높아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기상청은 “모레(1월 3일) 오전까지 동해안에는 너울에 의한 높은 물결이 갯바위나 방파제를 넘을 수 있으니 해안가 접근을 자제하는 등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강원도는 동해안 6개 시군에 긴급재난 문자를 보내 “동해안 지역 일본 지진에 따른 해일 위험이 있다”며 “선박을 대피시키고, 해변 주민은 이웃에 위험을 전파하고, 높은 지대로 대피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