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위와 부의 세습·대물림이 드물지 않은 일본에서 32살 자수성가 억만장자가 등장했다고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와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이 1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슌사쿠 사가미. /트위터 캡처

화제의 주인공은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 설립자 슌사쿠 사가미.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그의 순자산은 9억5000만 달러(약 1조2700억원)에 달한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지난해 6월 도쿄증시에 상장했고, 이후 주가가 300%까지 뛰었다. 이 회사의 지분을 72.4%를 보유한 사가미는 일본 내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했다.

2018년 사가미가 설립한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AI로 기업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인수합병(M&A)을 중개한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지난 3월까지 6개월 동안 62건의 거래를 성사했다. 이 기간 매출은 39억엔(약 38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현재 진행 중인 M&A는 500여건에 이른다.

이 회사의 주된 고객은 창업자가 고령으로 은퇴를 앞둔 매출 5억엔 안팎의 알짜 중소기업들이다. 초고령화 사회인 일본에선 기업을 뒤이을 후계자가 없어 폐업 위기에 처한 곳이 많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에 따르면 일본에서 수익성이 높은 기업 62만개가 후계자가 없어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다.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소유주가 70세 이상인 중소기업이 250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중 절반은 회사를 대신 이끌어갈 후계자가 없다.이들이 모두 문을 닫으면 총 65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일본 국내총생산(GDP)은 22조엔(216조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관측된다.

1990년생인 사가미는 초고령화에 따른 기업의 존폐 문제를 사업 아이템으로 삼으면서 은행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M&A 방식을 제시했다. M&A 담당자들이 통상 은행을 통해 거래를 진행하는 것과 달리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자체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M&A를 중개한다. 빠르게는 6개월 만에도 거래가 성사하기도 한다.

사가미 본인도 과거에 이런 문제를 간접적으로 경험했다. 사가미의 할아버지는 오사카에서 일평생 부동산 중개업소를 운영했지만, 후계자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설상가상으로 M&A도 성사되지 못했고 할아버지의 은퇴와 함께 중개업소는 폐업을 하게 된다.

포브스는 “일본의 기업 중 약 99%가 중소기업인데, 제대로 된 M&A를 하지 못해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며 “사가미는 바로 이 점을 파고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가미는 현재 M&A를 넘어 자산운용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포브스는 이와 관련해 “(M&A를 통해) 갑자기 큰 수익을 창출한 뒤가 오히려 중요하며, 자산을 올바르게 증식하는 것이 현재 사가미의 관심사이자 기업 경영 방향”이라고 전했다.

사가미가 처음부터 M&A에 관심을 가진 건 아니다. 2016년 고베대 농대를 졸업한 그는 알파카라는 이름의 패션 광고와 미디어 기업을 창업했다. 알파카는 빠르게 성장했고, 이후 ‘벡터’라는 일본 유수의 홍보 및 미디어 관계 기업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