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법률도 위반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설계된 영혼 없는 알고리즘이 해고 대상을 결정한 것 아니냐”

지난달 구글이 대규모 감원을 한 이후 해고된 직원 수백 명이 모인 온라인 대화방에서 나온 이야기다. 구글은 감원 결정에 “알고리즘이 관여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기업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채용과 승진 대상 등을 정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20일(현지 시각) 워싱턴포스트(WP)는 ‘인공지능(AI)이 누가 해고될지 고르기 시작했다’는 기사에서 “한때 고용을 돕기 위해 사용됐던 알고리즘이 이제는 누구를 감원할지 결정하게 됐다”고 전했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을 높인 오픈AI의 챗GPT 로고. / 로이터=연합뉴스

지금까지 인사 관리자는 AI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수백만 개의 고용 관련 데이터를 분석했다. 때로는 인터뷰, 고용, 승진할 사람을 추천하는 작업도 알고리즘에 맡겼다. 알고리즘을 사용해 고용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경력, 기술 등을 데이터로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프로젝트에 맞는 사람을 찾았다.

하지만 이제는 AI가 감원 결정을 돕는 작업에 쓰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월 미국 기업의 인사관리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98%는 “올해 정리해고 대상자를 결정하는 데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을 활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WP는 “최근 기업들이 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해고하면서 AI 도움 없이 인간이 해고 대상자를 결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시장에선 기업이 알고리즘에 의존하기 전에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적자원(HR) 소프트웨어 회사 글로트의 제프 슈어츠 부사장은 “알고리즘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이해해야 한다”며 “구성원들과 알고리즘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프트웨어 평가 사이트 캡테라의 HR 분석가인 브라이언 웨스트폴은 “알고리즘은 잘못된 데이터를 활용하면 위험할 수 있다”며 “알고리즘의 판단을 맹목적으로 믿고 결정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