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말 기준 애플 아이폰의 미국시장 점유율이 50%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사용 중인 기기를 기준으로 집계된 수치로, 아이폰이 출시된 2007년 이후 가장 높았다. 아이폰을 제외한 나머지 50%는 삼성과 레노버 등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150여종의 기기였다.

미국 뉴욕에 있는 애플 스토어의 모습.

1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최신 자료를 인용,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운영체제인 iOS가 절반을 점유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 같이 전했다.

금융 및 의료 부문 진출로 다른 국가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것이 애플이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됐다. 앞서 애플은 2020년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된 10억개 이상의 기기를 기반으로 영화와 TV, 광고 및 지급결제, 피트니스 및 건강 등의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

앱 구매, 아이클라우드 사용료, 애플 뮤직 또는 애플 페이 잉용 수수료를 포함해 이들 서비스에 요금을 내고 있는 사용자는 올해 2분기 기준 전 세계적으로 8억 6000만명에 달한다.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가입자 수를 합친 것의 약 두 배에 달하는 규모다.

애플의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 소식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오는 7일 신제품 ‘아이폰 14′ 공개를 앞두고 전해진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적으로는 여전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지배적인 만큼, 애플이 저렴한 비용 및 다양성을 무기로 시장 점유율을 높일 여지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