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18일(현지 시각)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만 3.5% 상승하면서 미국 상장주식 중 시가총액 1위를 차지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 UPI 연합뉴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3.80포인트(0.25%) 오른 5487.03을 기록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로써 S&P500 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31번째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21포인트(0.03%) 오른 1만7862.23에 마감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량주 30개 종목을 모아둔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76포인트(0.15%) 오른 3만8834.86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주식시장에서 엔비디아는 다시 화제의 중심에 섰다. 엔비디아 주가는 3.5%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3조3350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지하고 있던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만 약 174% 상승했다. 엔비디아 혼자 올해 5월까지 S&P500 지수 상승분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채권 시장의 수익률이 완화한 것도 주식 시장 상승을 견인했다. 지난달 미국 소매업체 매출이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시장의 기대치를 밑돌았다는 수치가 발표되면서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후 4.29%에서 4.21%로 하락했다. 연준의 기대치를 더욱 밀접하게 반영하는 2년물 수익률은 4.77%에서 4.70%로 떨어졌다.

이는 미 상무부는 올해 5월 미국의 소매 판매가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1% 증가한 7031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한 영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전망치인 0.2% 증가를 밑돈다. 소매 판매 둔화는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운다. 실제로 CME그룹에 따르면 소매 판매 수치가 발표된 후 시장에선 연준이 올해 최소 두 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졌다.